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인 유학생의 여가 중심성이 학업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10

영문명
The Effect of Leisure Centrality on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among Chinese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발행기관
글로벌교육연구학회
저자명
황순희(Soonhee Hwang) 최금진(Keumjin Choi)
간행물 정보
『글로벌교육연구』제17집 3호, 257~29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유 시간에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뜻하는 ‘여가’는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핵심 요인 중 하나다. 특히 삶에서 여가 활동이 차지하는 심리적·행동적 중심성을 뜻하는 ‘여가 중심성’은 교육적 맥락에서 긍정적 정서, 스트레스 완화, 학습 몰입 등을 촉진한다. 여가 중심성은 낯선 문화 환경에 놓인 외국인 유학생에게는 삶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유학생 382명의 여가 중심성, 심리적 안녕감, 학업 내재적 동기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여가 중심성과 학업 내재적 동기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데이터는 청주 및 세종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부 유학생 382명으로부터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고,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가 중심성은 심리적 안녕감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여가 중심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학업 내재적 동기의 세 하위 요인(지식추구, 성취지향, 자극경험)을 모두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은 여가 중심성과 학업 내재적 동기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내재적 동기 강화를 위해 여가 중심성을 높이고, 심리적 안녕감을 촉진하는 통합적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교육적 맥락에서 여가 활동을 장려하는 프로그램 설계, 심리·정서적 안정을 위한 상담 및 정서지원 체계 마련, 그리고 문화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커뮤니티 기반 활동과 같은 다차원적 개입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여가에 대한 문화적 접근성과 제약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여가 교육, 정서적 지원과 학업 상담의 연계 전략 또한 향후 실천적 과제로 제안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여가 권장 차원을 넘어, 유학생의 학업 지속과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으로서 함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Leisure, defined as all activities performed during free time, is a key factor contributing to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leisure centrality—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salience of leisure in one’s life—promotes positive emotions, stress redu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in educational contexts and may serve as an important protective factor for international students adapting to unfamiliar cultur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leisure centra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among 382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este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in Cheongju and Sejong, and a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leisure centrality positively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both leisure centr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ly predicted all three subdimensions of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knowledge-seeking, achievement-oriented, and stimulation-experience motivation; and third, psychological well-being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entrality and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integrated strategies that enhance leisure centrality and foster psychological well-being, including leisure-promotion programs,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systems, and community-based activities to facilitate cultural adap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순희(Soonhee Hwang),최금진(Keumjin Choi). (2025).중국인 유학생의 여가 중심성이 학업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글로벌교육연구, 17 (3), 257-298

MLA

황순희(Soonhee Hwang),최금진(Keumjin Choi). "중국인 유학생의 여가 중심성이 학업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글로벌교육연구, 17.3(2025): 257-2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