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rtistic Applications of AI Video Generation and Editing Technologies and Their Copyright and Ethical Challenges
- 발행기관
- 한국교방문화학회
- 저자명
- 한동균(DongKyun Han)
- 간행물 정보
- 『 교방문화연구』5권 3호, 257~27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기반 영상 생성 및 편집 기술이 영상 예술과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저작권·윤리적 쟁점을 분석한다. GAN과 확산모델(Diffusion Model)을 중심으로 발전해온 AI 영상 생성 기술은 영화, 광고, 뉴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예술적 실험과 상업적 활용을 가능케 하며, 창작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이끌었다. 영화에서는 배우 디에이징과 합성을 통해 연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광고에서는 제작 효율성 향상을 통해 시장 대응속도를 높였으며, 뉴미디어 아트에서는 기술 자체가 미학적 주제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인간 창작자의 역할 축소, 예술적 진정성 위기, 무단 학습데이터 활용에 따른 저작권 침해, 딥페이크 등을 통한 사회적 악용 문제를 동반한다. 국가별 제도적 대응은 미국의 인간 중심 원칙, 유럽의 투명성 규제, 일본의데이터 마이닝 허용, 중국의 강력 규제, 한국의 과도기적 입장 등 상이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적 규범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은 AI 영상 생성 기술이 창작의 민주화와 새로운 예술적 지평을 열면서도 법적·윤리적 기반 확립 없이는 지속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따라서 향후 예술 교육은 기술적 활용 능력뿐 아니라 법적 규제와 윤리적 책임을 함께 다루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국제적 협력 속에서 인간과 기계의 협업에 기반한 새로운 창작 모델 구축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rtistic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video generation and editing technologies, along with the associated copyright and ethical challenges.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s) and Diffusion Models, AI video technologies have transformed creative practices across film, advertising, and new media art. In cinema, AI enables de-aging and realistic synthesis that expand directorial possibilities; in advertising, it enhances efficiency and accelerates market responsiveness; and in new media art, it becomes a conceptual theme as well as a creative tool. However, these advancements also raise critical issues, including the diminished role of human creators, the erosion of artistic authenticity, copyright infringements from unauthorized training data, and the social risks of deepfake misuse. Different jurisdictions have taken divergent approaches: the U.S. emphasizes human authorship, the EU enforce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Japan permits broad data mining, China imposes strong regulations, and Korea maintains a transitional stance. This paper argues that while AI fosters new artistic horizons and democratizes video creation, its sustainability requires solid legal and ethical frameworks. Future art education should combine technical training with legal and ethical literacy, while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essential to establish common regulatory standards and to shape a new collaborative paradigm between humans and AI in creative practic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AI 영상 예술 활용 사례
4. 창작 과정과 인식 변화
5. 윤리 및 저작권 문제
6. 국제 제도 동향
7.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방문화연구 5권 3호 목차
- 근대 기생제도의 시작 ‘한성기생조합소’의 설립과정과 인가(認可)일에 관한 연구 - 일본인 경찰들의 기록(1908~1910년 일제 통감부 경찰문서)을 중심으로
- 한반도 최초 민간 전문 여성예술인 단체 ‘한성기생조합소’의 설립과정과 인가(認可)일에 관한 연구 - 조선인들의 기록(대한제국기 발행 8종의 『근대신문』)을 중심으로
- 잡가의 기러기 모티프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배우자 인연의 중시로서 궁합(宮合)에 관한 고찰
- 1930년대 관광안내서 『경성정서(京城情緖)』 연구
- AI 기반 이퀄라이저의 자동 매칭 기능의 활용 및 한계 분석: Pro-Q3와 Match EQ 비교 연구
- 명원의 한시 연구 - 『증보해동시선』 소재 칠언율시를 중심으로
- AI 영상 생성과 편집 기술의 예술적 활용과 저작권·윤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기술의 발전과 음악 저작권 관련 법적 쟁점 연구
- 국제교육과정 인증시험으로서 ‘IGCSE 한국어(International GCSE)’ 시험문제 유형 탐색을 통한 국제 한국어 평가 방향 제시 연구 - ‘읽기’와 ‘쓰기’를 대상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교방문화연구 5권 3호 목차
- 근대 기생제도의 시작 ‘한성기생조합소’의 설립과정과 인가(認可)일에 관한 연구 - 일본인 경찰들의 기록(1908~1910년 일제 통감부 경찰문서)을 중심으로
- 한반도 최초 민간 전문 여성예술인 단체 ‘한성기생조합소’의 설립과정과 인가(認可)일에 관한 연구 - 조선인들의 기록(대한제국기 발행 8종의 『근대신문』)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