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원의 한시 연구 - 『증보해동시선』 소재 칠언율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Poetry of Myeong-won: Focusing on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 in the Revised Anthology of Korean Poetry
발행기관
한국교방문화학회
저자명
양훈식(Hoon-shik Yang)
간행물 정보
『 교방문화연구』5권 3호, 231~25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증보해동시선』 소재 명원의 칠언율시 22수를 중심으로 그 한시의구성과 특징 및 주제와 내용을 통해 사대부 여성과 기생의 한시를 비교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명원 한시의 구성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양반가 부인의 칠언율시는 신사임당 율곡 모당, 서영수합 홍석주 모당, 홍순언처, 경참판 최일 부인, 빙호당 종실 숙천령처, 허난설헌, 옥봉 이씨 등이 작시하였다. 이들은 한시를 자신의 교양 수준과 지적 소양을 보여주는 중요한 수단으로 삼아 주로 자연 경물 묘사를 통해 정서를 표현하거나 가족에 대한 사랑과 윤리적 덕목을 강조하였다. 양반가 여성들은 전문적으로 시를 배워 칠언율시에 대한 이해가 높은 편이며 함련과 경련의 대우를 맞추는 데 신경 써서 형식적인 미를 추구하였다는 것을 알 수있다. 한편 기생의 한시는 이들이 남성 문인들과 교류하며 문학적 역량을 키웠고, 사랑과 이별, 삶의 애환 등을 노래하는 시편을 남겼다. 이들의 시는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색채가 강하며, 애정과 운명에 대한 인식이 두드러졌으나 칠언율시가 선정된 기생은 많지 않았다. 이들은 주로 감성을 전하기 쉬운 오언시 위주로작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명원 칠언율시의 주제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명원의 한시에는 주제가 첫째, 자연과 감성의 교감, 둘째, 이별과 그리움의 정서 반영, 셋째, 사회적억압과 고독, 넷째, 여성의 자아와 문학적 자각 등으로 제시되었다. 명원 한시의내용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수를 차지하는 기생의 한시는 양반가 여성 한시와 달리 보다 감성적이고 직설적인 표현이 많았다. 이는 조선 문학에서 이들의 자신의감정표출에 익숙하고 자유로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증보해동시선』에 수록된 명원의 칠언율시 22수를 고찰함으로써그 형식적 의미와 작시의 방법 및 주제의 구현 양상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기생의 한시와 양반가 여성의 한시가 내용상으로는 비슷하나 창작 양상에 있어 기생은 다양한 소재를 통해 자신의 감성을, 사대부 여성은 형식미에 주안점을 둔 차이를 보여 준 것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wenty-two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s (七言 律詩) by Myeongwon contained in Jeungbo Haedong Siseon (增補海東詩選) and compares the poetry of literati women and gisaeng through their structure, characteristics, themes, and content. Chapter 2 examines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Myeongwon’s poetry. The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s of noblewomen—such as Shin Saimdang, Yulgok’s mother; the wife of Seo Yeongsuhab, Hong Seokju’s mother; the wife of Hong Sun-eon; the wife of Vice Minister Choi Il; the wife of Prince Sukcheonryeong; Heo Nanseolheon; and Okbong Yi—served as an important means of demonstrating their cultural refinement and intellectual capacity. These women primarily expressed emotions through descriptions of nature and emphasized familial love and ethical virtues. Having received systematic training in poetry, they possesse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regulated verse form and paid close attention to balancing couplets, thereby pursuing formal beauty. By contrast, the poems of gisaeng reflected their literary growth through interactions with male literati. Their works often dealt with themes of love, parting, and the hardships of life, marked by strong emotional and lyrical qualities and a keen awareness of affection and fate. However, few courtesans were selected for composing regulated seven- character verse. Instead, it was evident that they mainly wrote five-character poems, which were better suited for conveying emotional expression. Chapter 3 explores the themes and content of Myeongwon’s regulatedverse. The major themes include: (1) communion between nature and emotion, (2) expressions of separation and longing, (3) reflections of social oppression and solitude, and (4) women’s self-awareness and literary consciousness. In terms of content, the majority of gisaeng’s works were more emotional and direct in expression than those of literati women, revealing their greater familiarity with open emotional expression in Joseon literature. By analyzing twenty-two poems of Myeongwon’s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 in Jeungbo Haedong Siseon, this study illuminates their formal significance, methods of composition, and thematic realization. It further reveals that while gisaeng and literati women shared similar themes, their creative approaches diverged: gisaeng emphasized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diverse subjects, whereas noblewomen focused on formal and structural beauty. This distinction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목차

1. 서론
2. 명원 한시의 구성과 성격
3. 명원 칠언율시의 주제와 내용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훈식(Hoon-shik Yang). (2025).명원의 한시 연구 - 『증보해동시선』 소재 칠언율시를 중심으로. 교방문화연구, 5 (3), 231-255

MLA

양훈식(Hoon-shik Yang). "명원의 한시 연구 - 『증보해동시선』 소재 칠언율시를 중심으로." 교방문화연구, 5.3(2025): 231-2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