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ongitudinal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Learning Reflections in Curriculum-Linked Learning Communities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지(Hyunji Lee) 박세정(Sejeong Park)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25권 제3호, 69~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C 대학교에서 운영된 교과연계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 성찰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이 작성한 학습보고서를 텍스트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의미연결망분석(SNA) 기법을 적용하여 키워드 간 구조적 관계와 변화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 초기에는 개인 중심의 학습성과 관련 키워드가 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이 진행될수록 ‘협력’, ‘피드백’ 등 상호작용 기반 키워드가 중심성을 가지며 네트워크 구조의 연결성이 강화되었다. 이는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자기 주도성이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연도별 분석 결과 2022년 교양 교과연계로 발표와 적응 중심의 성찰이 두드러졌으며, 2023년은 전공 개론 수업을 통해 개인학습의 전략적 학습공유가 강조되었다. 2024년은 암기 중심 전공 교과를 연계하여 반복 학습과 학습 효율성에 대한 성찰이 나타났다. 교과연계 방식에 따라 학습 성찰 주제와 학습효과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으며 이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운영자와 교과 담당자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reflective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urriculum-linked learning communities at C University from 2022 to 2024. Learning reports written by students were used as textual data,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was applied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changes among keywor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early reflections emphasized individual outcomes whereas interaction-oriented keywords such as collaboration and feedback became central over time, reinforcing network connectivity. This indicates that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enhanced both peer inter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Yearly comparisons further highlighted distinct patterns: in 2022, liberal arts courses emphasized adaptation and presentation skills; in 2023, introductory major courses encouraged strategic sharing of individual learning; and in 2024, memory-based major courses prompted reflections on repetition and learning efficienc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urriculum-linked approaches shape reflective learning themes and outcomes in different ways, offering meaningful implications for program operators and course instru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확장학습이론에 관한 문헌 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 개인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