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숏폼 콘텐츠 기반 창의적 학습 전략 : 생성형 AI 수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32

영문명
Short-Form Content-Based Creative Learning Strategies : Focusing on a Generative AI Course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김동희(Donghee Kim)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25권 제3호, 49~6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숏폼 콘텐츠 제작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연계 효과와 전이 경향을 탐색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 설계를 적용해 대학 1학년 24명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숏폼 콘텐츠 소비, 생성형 AI 기반 제작, 피드백의 세 단계 교수 설계를 운영하였다. 그 결과 소비 단계에서 학습자의 몰입과 공감은 향상되고 인지부하는 낮게 나타났다. 이어 제작과 피드백 단계에서는 전통적 창의성 이론의 네 요인(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이 유의하게 강화되었다. 특히 소비 단계에서 형성된 정서적 몰입은 제작과 피드백 과정을 거치며 창의성과 자기주도성으로 전이되는 경향을 보였다. 피드백 과정에서는 메타인지 역량의 동시적 향상 가능성도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 학습 환경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향후 수업 설계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linkage and transfer effects of a generative AI-based short-form content creation course on learners’ creativity. Using a mixed-methods design, 24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15-week, three-stage instructional sequence comprising consumption, creation, and feedback. During consumption, learners’ flow and empathy increased while perceived cognitive load remained low. Subsequent AI-supported creation and iterative feedback produced significant gains in four creativity dimensions—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assessed with rubric-based ratings and triangulated with self-report measures. Notably, flow and empathy cultivated during consumption tended to transfer to creativity and autonomy through production and feedback cycles, with metacognitive regulation emerging as a mediator. Repeated-measures analyses indicated a cumulative trajectory for elaboration, reflecting refinement through strategy adjustment and revision. Qualitative accounts corroborated these patterns, highlighting the internalization of feedback as hypothesis testing and the responsible use of AI tools. The findings extend theorizing on creativity education in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and offer practical guidance for course design that couples purposeful media consumption with AI-supported making and reflective feedback.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희(Donghee Kim). (2025).숏폼 콘텐츠 기반 창의적 학습 전략 : 생성형 AI 수업을 중심으로. 창의력교육연구, 25 (3), 49-67

MLA

김동희(Donghee Kim). "숏폼 콘텐츠 기반 창의적 학습 전략 : 생성형 AI 수업을 중심으로." 창의력교육연구, 25.3(2025): 49-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