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Direction of Art Activ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미(Kyungmi Park) 노하현(Hahyeon Noh) 김정혜(Junghye Kim) 태진미(Jinmi Tae)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25권 제3호, 25~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계선 지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 학생들의 다중지능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술 활동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공식적으로 BIF 판정을 받은 초등학생 88명과 중학생 28명을 포함한 총 116명의 학생이다. 본 연구에서는 BIF 학생들의 다중지능 영역별 수준이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소그룹 이상의 지도시 효율적 지원 방안 모색을 위해 다중지능 프로파일에 따라 어떠한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급에 따라 다중지능 영역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BIF 학생들은 단일한 특성을 지닌 집단이 아니었으며, 다중지능 프로파일에 따라 이질적인 세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군집 A는 다중지능 점수가 2점대(평균 이하)에 머물러 전반적으로 낮은 발달 수준을 보였다. 군집 B는 3점대 초중반(평균 수준)에 분포하며, 신체운동지능, 음악지능, 인간친화지능 영역에서 상대적인 강점을 보였다. 군집 C는 1~2점대 초반의 매우 낮은 점수대를 보여 전반적인 인지 및 행동발달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군집별 다중지능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BIF 학생들을 위한 미술 활동 설계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ltiple intelligence (MI)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 and proposes directions for designing art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articipants were 116 students officially diagnosed with BIF, comprising 88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8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levels of MI domains among BIF students differed by school level and gender, and further explored how these students could be classifi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MI profiles to identify effective support strategies in group instruction.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ross MI domains by school level, while no differences were found by gender. Second, BIF students did not constitute a homogeneous group; rather, three heterogeneous clusters emerged based on their MI profiles. Cluster A showed generally low developmental levels, with MI scores remaining in the 2-point range (below average). Cluster B, located in the low-to-mid 3-point range (average), demonstrated relative strengths in bodily-kinesthetic, musical,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s. Cluster C exhibited very low scores in the early 1-2 point range, suggesting substantial difficulties in cognitive and behavioral development. Drawing on these cluster-specific MI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poses pedagogical directions for art activity design tailored to the needs of BIF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군집별 특성에 따른 미술활동의 지향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증명과 규칙에 대한 연구
- IB DP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선택 활동 기반의 초등학교 2학년 수업 분석: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