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화장실 유적의 특성과 변화

이용수  0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Korean Toilet Sites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임세영(Seyeong Lim)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103호, 255~29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장실은 고대인들의 배설에 관한 금기와 관념까지 묶여있는 공간뿐만 아니라 분뇨처리방식을 바탕으로한 구조와 부속시설, 행위에 동반되는 도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구의 발굴과정에서 점점 드러나고 있다. 최근 들어 이와 관련한 고고학 연구가 논의되고 있는 것이 화장실 고고학이다. 이 용어는 일본에서 90년대이후 발굴 현장에서 출토되는 기생충란을 분석함으로써 과거 사회에 대한 다른 방법으로는 획득할 수 없는몇 가지 중요한 과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고대 기생충 알 연구를 발굴 현장의 화장실유구를 중심으로 전개했기 때문에 ‘화장실 고고학’이라고 불리는 단초가 되었다. 반면 한국에서는 발굴조사의 관심 부족이 자료의 부족을 야기해 연구의 무관심을 일으켜 화장실 고고학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악순환의 시스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국의 화장실 유구는 총 15기가 확인되었으며 백제 9기, 신라와 조선에서 각각 3기씩 확인되었지만 고려시대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여기서 백제는 신라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화장실 유구가많이 확인되었지만 신라는 1000년의 긴 역사에 비해 화장실 유구가 3기밖에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발굴된 화장실 유구를 중심으로 삼국시대~조선과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구조에 따른 특징과 변화양상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addition to spaces where taboos and ideas about ancient people's excrement are tied, toilets serve as structures, accessories, and tools based on manure treatment methods. In recent years, archaeological research related to this has been discussed in toilet archaeology. By analyzing parasite eggs excavated from excavation sites since the 1990s in Japan, this term provides several important scientific information about past society that cannot be obtained by any other method. In Japan, the study of ancient parasite eggs developed around toilet remains at the excavation site,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toilet archaeology’.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lack of interest in excavations causes a lack of data, causing indifference to research, causing a vicious cycle in which research on toilet archaeology is not conducted. A total of 15 toilet remains in Korea were identified, 9 of Baekje and 3 of Silla and Joseon, respectively, but not in the Goryeo Dynasty. Although Baekje had a shorter history than Silla, many toilet remains were identified, but Silla had only 3 toilet remains compared to its long history of 1,000 yea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Joseon and modern times, focusing on toilet oil excavated in Korea,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struc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에서 확인된 화장실 유적 현황 및 분석
Ⅲ. 화장실 비교와 변화 추이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세영(Seyeong Lim). (2025).한국 화장실 유적의 특성과 변화. 영남고고학, (), 255-296

MLA

임세영(Seyeong Lim). "한국 화장실 유적의 특성과 변화." 영남고고학, (2025): 255-2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