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tock Price Volatility Spillovers and Connectedness in the Korean Interior Design Industry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 저자명
- 고윤민(Youn-Min Ko) 이연재(Yeon-Jae Lee)
- 간행물 정보
- 『부동산 도시연구』제18권 제1호, 47~7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테리어 산업은 국내 건설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 고 있다. 대한전문건설협회(KOSCA, 2022) 보고서에 따르면, 인테리어 건설 산업 전체의 연간 총 매출은 약 14조 원에 달한다. 이러한 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해 본 연구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내 인테리어 산 업 주요 기업들의 일별 시가총액 변동성과 상호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DY 연계성 지수와 일반화된 벡터 자기회귀(VAR) 모형을 활용하여 2013년부터 2024년까지 주요 인테리어 관련 기업 간의 정보 전달 및 네트워크 구 조를 연구한다.
분석 결과 자재 공급업체는 변동성의 주요 전달자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 내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OVID-19 팬데믹 및 지정학적 사건과 같은 외부 충격 동안 변동성 전이에 따른 효과가 크게 강화되어 기업 간 상호 연결성이 더욱 강해졌다. 이러한 결과는 거시경제 충격에 대한 국내 인테 리어 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을 보여주며, 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리스크 관리와 전략적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 는 점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인테리어 산업 내 정보 흐름의 구조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및 정책 개 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변동성 전이 지수의 구조적 연구(예: 벡 터 오차 수정 모델)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interior industry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but there is a lack of sufficient research on it.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Korea Professional Construction Association (KOSCA, 2022), the total annual sales of all interior construction industries is approximately KRW 14 trillion. In order to fill the research gap, our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daily market capitalization volatility and interconnectedness among major companies in the South Korean interior design industry amid increasing economic uncertainties. Utilizing the DY spillover index and the generalized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 it investigates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network structure among key interior-related firms from 2013 to 2024. The results reveal that material suppliers play a pivotal role as primary transmitters of volatility, occupying a central position within the network. Notably, during external shock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nd geopolitical events, the effects of volatility spillovers significantly intensified, leading to stronger intercompany interconnectedness. These findings indicate the systemic vulnerability of the Korean interior design industry to macroeconomic shocks, underscoring the necessity of risk management and strategic policy responses for the industry's stable growth.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flows within the interior design sector and serves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systemic risk management and policy development. Future research could include structural studies (e.g.,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s) of volatility spillover indi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론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