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Volatility Spillover and Connectedness i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Korean Online Investment-Linked Financial Business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 저자명
- 곽정우(Jeong-Woo Kwak)
- 간행물 정보
- 『부동산 도시연구』제18권 제1호, 75~10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Diebold and Yilmaz(2012) 변동성 전이모형을 활용하여,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P2P금융)의 기업 간 변동성 전이 구조 및 연계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월별 대출잔액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전이 강도 와 방향성을 정량적으로 도출하고, 네트워크 기반 시각화를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 총변동성전이지수는 2021∼2022년 시기가 피크인 역U자형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관측기간 동 안 산업내 부동산담보대출에 대한 집중도 내지 상품의 동질성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순변동성전이지수 는 대출잔액 규모가 큰 대형사일수록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해당 기업들이 시장 변동성의 전이를 주도하기보다는 이를 수용하는 안정적 전략을 취해왔음을 시사한다.
한편, 네트워크 분석 결과 최대규모 사업자인 PFCT가 순변동성전이지수 수치상으로 전이 수용자에 해당하였는 데, 전체 네트워크 구조상으로는 중심부에 위치하였다. 이는 PFCT가 여러 다수의 기업들과 연결성을 통해 변동성 내지 충격을 최종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로, 시장참여자들이 변동성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전략이 보다 효과적이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아울러,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의 건강한 발전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부동산담보대출 편중을 완 화하고 상품 구조의 다양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structure and connectedness of volatility spillovers among firms in the online investment-linked financial business (P2P lending), applying the volatility spillover model developed by Diebold and Yilmaz (2012). Using monthly loan balance data, the study quantitatively estimates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volatility transmission and visualizes the inter-firm linkages through network-based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Total Spillover Index (TSI) exhibits an inverted U-shaped trend, peaking during the 2021-2022 period. This pattern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changes in the industry's concentration on real estate-secured loans and the homogeneity of loan product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Net Spillover Index was found to be lower for large-scale firms with higher loan balances, suggesting that these firms adopted more stable strategies that absorb, rather than transmit, market volatility.
Meanwhile, the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PFCT, the largest firm in terms of loan volume, was categorized as a volatility receiver based on its net spillover index, yet occupied a central position in the overall network. This indicates that PFCT played a role as a final absorber of shocks through its extensive connections with other firms.
These findings empirically confirm that flexible and adaptive strategies were more effective for market participants in managing volatility. Furthermore,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and sustainable growth of the P2P lending busines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policy support aimed at mitigating overconcentration in real estate-secured loans and promoting greater diversification in loan product structures.
목차
Ⅰ. 서론
Ⅱ. 제도 및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및 분석자료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