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motion Stimulation and Aspiration of the Folk Songs: In Korean and Hungarian Folk Song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한경민(Kyeng Min Han)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제49권 3호, 89~11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민요는 현실적 고통과 난관을 만났을 때, 구연자의 정서를 환기하고 내면의 염원을 표출하면서 다시 살아갈 수 있도록 힘을 주는 기능을 한다. 어려운 현실, 삶의 의지가 꺾이게 만드는 난관의 연속에서도 “다시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살아가도록 인간의 정서를 환기해 주는 기능과 함께 가슴속 염원을 표출함으로써 현실적 삶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도록 도와준다. 전통사회에서 서민은 피지배계층으로서 가난과 노동, 사회적 불평등 가운데 고통을 겪었다. 이를 수용하고 달래는 과정에 민요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민요를 부르는 동안 현재의 부정적 정서를 벗어나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인식을 하게 만들어주는 정서의 환기 과정이 일어난다. 또한 앞으로 꿈과 희망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하는 구체적인 염원까지 표현함으로써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게 해 준다. 염원은 가족의 건강과 행복, 사랑하는 사람과 행복하게 지내고 싶은 개인적 염원과 국가나 민족, 공동체의 위기 극복을 바라는 공동체적인 염원도 있다. 이 논문은 한국과 헝가리의 민요를 비교하여 두 나라의 민중이 억눌린 정서를 어떻게 환기했는지 어떠한 염원으로 극복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민요가 가진 보편성과 고유성을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Folk songs serve the function of giving the singer strength to live again by evoking his emotions and expressing his inner wishes. In traditional society, the common people were ruled and suffered from poverty, labor, and social inequality. While singing folk songs, a process of emotional stimulation occurred that allowed them to escape current negative emotions and adopt positive and optimistic perceptions. By expressing specific wishes, they overcame the difficulties of reality. Communal wishes were stated as well as personal wishes in case of a national or ethnic crisis. In this article, Korean and Hungarian folk songs are compared to examine how the people evoked their suppressed emotions and how they overcame them with their aspirations, thereby examining th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of folk songs.
목차
1. 들어가는 글
2. 민요의 정서환기(情緖換氣)
3. 민요의 염원 표출
4.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시아의 사할린 탐사 연구: 19세기 탐사를 중심으로
- 체제 전환 이후 폴란드 국가 정체성 인식의 변화
- 스타니스와프 렘의 『솔라리스(Solaris)』에 나타난 인식의 모순과 한계에 대한 연구
- 민요의 정서 환기와 염원 표출: 한국과 헝가리의 민요 비교
- 니콜라이 볼레프의 영화《마르가리트와 마르가리타》(1989) 연구: 파멸과 저항의 기록
- 러시아의 창조산업 발전과 디지털 주권의 제도적 충돌에 관한 연구
- [번역] 안툰 구스타프 마토쉬 시의 한국어 번역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변동: 키르기스스탄의 ‘다중벡터 외교’ 전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러시아의 사할린 탐사 연구: 19세기 탐사를 중심으로
- 체제 전환 이후 폴란드 국가 정체성 인식의 변화
- 스타니스와프 렘의 『솔라리스(Solaris)』에 나타난 인식의 모순과 한계에 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