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flections on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Human Cognition in Solaris by Stanisław Lem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최성은(Sungeun Choi)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제49권 3호, 59~8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솔라리스』(1961)는 SF의 거장이자 미래학자인 스타니스와프 렘의 대표작으로 과학과 문학, 철학과 미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SF의 클래식이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솔라리스의 바다’는 인간의 언어로 해석 불가능한 대상으로 인간 무의식의 심연을 드러내는 거울이자, 인간 중심주의를 전복하는 존재론적 타자를 상징한다. 레비나스, 데리다, 프로이트,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 이론과의 연결을 통해 텍스트를 분석해 보면, 이 작품이 인간의 인식 체계, 정체성, 윤리의 경계를 시험하는 포스트휴먼 소설임을 확인할 수 있다. 렘은 이 소설을 통해 인간의 고립된 주체성, 인식의 자기중심성, 타자에 대한 공포를 드러내며, 새로운 존재론적-윤리적 상상력을 제시하고자 했다.
미래와 우주라는 가상의 시공간을 배경으로 한 『솔라리스』에서 렘이 집요하게 파고들었던 주제는 ‘인간’이다. 궁극적으로 이 작품은 타자와의 대면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을 되묻는 철학적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를 향해 ‘인식의 모순과 한계’라는 근원적 질문을 던지기 때문이다. 인간은 타자를 이해하려는 나름의 시도 속에서 자아를 되돌아보고 재정립하기도 하지만, 그 과정에서 오히려 자기 내면의 균열과 무지, 한계와 마주하게 된다는 것을 이 작품은 일깨운다.
영문 초록
Solaris (1961), widely regarded as the seminal work of Stanisław Lem — a leading figure in science fiction and futurist thought — stands as a canonical text that traverses the disciplinary boundaries of science, literature, philosophy, and aesthetics. The “ocean of Solaris” presented in the novel constitutes a radical Other: an entity fundamentally untranslatable within the framework of human language. Simultaneously, it functions as a mirror that exposes the depths of the human unconscious, while also serving as an ontological Other that destabilizes anthropocentric assumptions.
Through an interpretive lens informed by the thought of Emmanuel Levinas, Jacques Derrida, Sigmund Freud, and posthumanist theory, Solaris may be understood as a posthuman text that interrogates the limits of human epistemology, subjectivity, and ethics. Lem foregrounds the solitude of the human subject, the narcissism inherent in systems of perception, and the pervasive anxiety elicited by the unknowable Other—thereby articulating a speculative ethics and ontology beyond the human.
Set within a fictional spatio-temporal framework of futuristic and cosmic proportions, Solaris persistently returns to the question of the human. At its core, it is a philosophical narrative that poses a critical inquiry into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articulated through the encounter with alterity. Rather than offering a resolution, the novel confronts the reader with the intrinsic contradictions and epistemological limits that underlie all attempts at understanding. While the human subject endeavors to grasp the Other, it is instead compelled to confront the ruptures, ignorance, and constraints within the self. Ultimately, the novel’s philosophical gravity resides not in the deciphering of the alien Other, but in the encounter with its very incomprehensibility—an experience that renders visible the structural instabilities of human cognition and the existential disquiet they engende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SF 소설가이자 미래학자인 스타니스와프 렘
3. 『솔라리스』의 내용과 문학사적 의미
4. 『솔라리스』에 나타난 인식의 모순과 한계에 대한 성찰
5.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시아의 사할린 탐사 연구: 19세기 탐사를 중심으로
- 체제 전환 이후 폴란드 국가 정체성 인식의 변화
- 스타니스와프 렘의 『솔라리스(Solaris)』에 나타난 인식의 모순과 한계에 대한 연구
- 민요의 정서 환기와 염원 표출: 한국과 헝가리의 민요 비교
- 니콜라이 볼레프의 영화《마르가리트와 마르가리타》(1989) 연구: 파멸과 저항의 기록
- 러시아의 창조산업 발전과 디지털 주권의 제도적 충돌에 관한 연구
- [번역] 안툰 구스타프 마토쉬 시의 한국어 번역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변동: 키르기스스탄의 ‘다중벡터 외교’ 전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러시아의 사할린 탐사 연구: 19세기 탐사를 중심으로
- 체제 전환 이후 폴란드 국가 정체성 인식의 변화
- 스타니스와프 렘의 『솔라리스(Solaris)』에 나타난 인식의 모순과 한계에 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