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ussian Exploration of Sakhalin: Focusing on Nineteenth-Century Expedition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문준일(Joonil Moon)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제49권 3호, 3~3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이루어진 러시아 제국의 사할린 탐사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그 정치적, 지리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초기 탐사는 제정 러시아의 극동 진출 및 태평양 연안 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크루젠슈테른, 가브릴로프, 특히 네벨스코이가 수행한 항해와 조사는 사할린이 섬이라는 지리적 정체성을 규명하려는 러시아 제국의 노력이었다. 이후 러시아의 연해주 지역과 사할린 탐사는 일본과의 영토 경계 설정을 둘러싼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를 하였다.
19세기 중반 이후 러시아는 사할린에 대한 식민적 관심을 본격화하였고, 자원 탐사, 토착민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1869년에는 공식 유형지로 지정되었다. 특히 네벨스코이의 탐사 활동은 러시아의 실효 지배를 강화하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였으며, 이는 이 지역에 대한 지식의 축적뿐만 아니라 제국의 극동 정책, 일본과의 외교 경쟁, 그리고 1905년 사할린 분할로 이어지는 국제 질서 재편과도 이어지게 된다.
사할린은 러시아와 일본, 한국 등 동북아 3국의 근대사가 교차하는 전략적 지역으로, 러시아의 탐사와 이주 및 식민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 지역의 복잡한 정치적·사회적 정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Russian Empire’s exploration of Sakhalin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its political and geographical significance. The early expeditions were conducted as part of Imperial Russia’s strategic expansion into the Far East and its efforts to secure access to the Pacific coast. In this context, the voyages and surveys carried out by figures such as Krusenstern, Gavrilov, and especially Nevelskoy represented a concerted imperial effort to determine the island's geographical identity as a distinct landmass.
Subsequent explorations of Sakhalin and the Primorye region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al discussions regarding territorial demarcation between Russia and Japan. From the mid-19th century onward, Russia’s colonial interest in Sakhalin intensified, marked by resource surveys, anthropological investigations of the indigenous populations, and the official designation of the island as a penal colony in 1869. Nevelskoy’s exploratory endeavors played a crucial role in consolidating Russian de facto control over the region, contributing not only to the accumulation of geographic and ethnographic knowledge but also to the formulation of imperial Far Eastern policy, diplomatic competition with Japan, and the eventual geopolitical reconfiguration that culminated in the partition of Sakhalin in 1905.
Situ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modern histories of Russia, Japan, and Korea, Sakhalin holds strategic significance in Northeast Asia. Analyzing the processes of Russian exploration, migration, and colonization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complex political and social dynamics of the region,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s following the Second World Wa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러시아의 사할린 탐사 활동
3.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시아의 사할린 탐사 연구: 19세기 탐사를 중심으로
- 체제 전환 이후 폴란드 국가 정체성 인식의 변화
- 스타니스와프 렘의 『솔라리스(Solaris)』에 나타난 인식의 모순과 한계에 대한 연구
- 민요의 정서 환기와 염원 표출: 한국과 헝가리의 민요 비교
- 니콜라이 볼레프의 영화《마르가리트와 마르가리타》(1989) 연구: 파멸과 저항의 기록
- 러시아의 창조산업 발전과 디지털 주권의 제도적 충돌에 관한 연구
- [번역] 안툰 구스타프 마토쉬 시의 한국어 번역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변동: 키르기스스탄의 ‘다중벡터 외교’ 전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러시아의 사할린 탐사 연구: 19세기 탐사를 중심으로
- 체제 전환 이후 폴란드 국가 정체성 인식의 변화
- 스타니스와프 렘의 『솔라리스(Solaris)』에 나타난 인식의 모순과 한계에 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