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Key Factors In Citizen Participation: Comparing Views of Public Officials and Citizens
- 발행기관
- 한국NGO학회
- 저자명
- 김영빈(Young-bin Kim)
- 간행물 정보
- 『NGO연구』제20권 제2호, 51~8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다수의 지방자치단체가 시민참여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공무원과 시민 간 협력관계에 어려움을 겪으며 참여과정의 내실보다 선언적 의미에 치중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시민참여정책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무원과 시민 간 인식 차이를 해소하는 것이 선결 과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시민참여의 핵심요소에 대한 공무원과 시민의 인식 차이를 IPA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서울특별시의 2020 지역사회혁신계획(구단위계획형) 과정관리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적절한 재정・인력 등의 지원(Resources)’, ‘시민의식 향상을 위한 노력(Active citizenship)’, ‘효율적 참여를 위한 시간 제공(Time)’, ‘시민참여 결과의 이행(Accountability)’에 대해 공무원과 시민 사이에 인식의 간극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민참여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위 네 가지 요소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전략적 조정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특히, 시민참여정책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공무원과 시민 간 인식 차이를 조율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 하며, 이는 참여제도의 신뢰성과 실행력을 높이는 핵심 조건임을 본 연구는 강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many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have introduced citizen participation policies. However, these efforts often face challenges in establish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citizens, resulting in a tendency to prioritize declarative aspects of participation over meaningful engagement. For citizen participation policies to be effectively implemented, addressing the perception gap between officials and citizens is a critical prerequisite. This study investigates such perception gaps by apply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framework to assess how the two groups view key elements of citizen participation. The analysis is based on data from the 2020 process management survey of Seoul’s district-level Local Community Innovation Plans. The results reveal notable differences in perception regarding four core elements: provision of adequate resources(Resources), efforts to enhance civic awareness(Active citizenship), allocation of sufficient time for meaningful engagement(Time), and follow-up on citizen input(Account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uilding consensus and strategically aligning efforts around these elements is essential to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policie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and sustained efforts to reconcile these differences from the early stages of policy implementation. Such efforts are fundamental to strengthening the credibility and operational success of participatory governance syste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체계 분석:A마을활동가단체를 중심으로
- 시민사회기본법 30년 입법사 : 담론 변화, 반복된 실패, 그리고 전략적 재설계
- 중장년층의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 사회시민권의 형성과 전개 : 1948~1987년을 중심으로
- IPA 매트릭스를 활용한 시민참여 핵심요소의 중요도-성취도 실증분석 : 공무원과 시민의 인식 차이 중심
- 원인과 사례 분석을 통한 분신(焚身)의 유형화 연구
- 노인 대상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 특징 연구
-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친환경 호텔 실행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체계 분석:A마을활동가단체를 중심으로
- 시민사회기본법 30년 입법사 : 담론 변화, 반복된 실패, 그리고 전략적 재설계
- 중장년층의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