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xistential Meaning of Travel: A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Documentary ‘The Solitary Animal Trainer’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보미(Bo-Mi Lee)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9권 제6호, 47~7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우리에게 여행은 왜 필요한가?’라는 물음을 가지고 다큐멘터리 ‘고독한 훈련사’의 여정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여행의 실존적 의미에 관한 구체적 이해를 시도한다. 고독한 훈련사의 마지막 여정은 단순한 여행이나 반려견과의 관계 인식 차원을 넘어, 낯선 체험을 통해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과 삶의 본질을 재성찰하는 내면의 여정으로 제시된다. 이 연구는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을 기반으로, 인간이 사회가 규정한 익숙한 일상적 틀에서 벗어나 ‘본래적 현존재’로 전환하는 과정을 ‘여행을 통해’ 경험하며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진리의 비은폐(aletheia) 사건으로서 여행의 본질을 해석한다. 고독한 훈련사는 직업적 현실과 일상에서 은폐된 반려견과의 이분법적 경계를 허물며 자신의 존재와 삶을 조화롭게 회복한다. 이를 통해 여행은 단순한 시간과 공간의 이동이 아닌, 삶에 생기와 온기를 불어넣는 실존적 진리의 사건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고독한 훈련사’의 현상학적 해석을 통해 i) 여행의 진정성을 정립시켜주는 실존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고, ii) 여행에서 진정성의 의미는 어떤 추상적 개념이나 이론으로서 추구하는 것이 아닌 발견되어야 하는 진리의 사건이며, iii) 현상학을 통해 근대의 실증주의적 접근에 대한 비판적 관점과 해방적 실천을 동시에 제시할 수 있었다. 더불어 관광산업과 교육 분야에 인간 중심의 실존적 경험 설계와 인문사회 융합교육 강화가 필요함을 강조하며, 관광학의 학문적 발전과 실천적 전환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xistential meaning of travel by analyzing the documentary ‘The Solitary Animal Trainer’ through a phenomenological lens, asking, “Why do we need to travel?” The trainer’s final journey is depicted as an inner reflection on identity and life’s essence, beyond a simple trip or human-animal relationship. Drawing on Heidegger’s existential philosophy, the study interprets travel as an event of aletheia—the unconcealment of truth—through which individuals move from socially conditioned routines to authentic existence. The trainer breaks down boundaries between himself and his dog, recovering a harmonious sense of self. Thus, travel is seen not as mere movement, but as a transformative, existential experience. This analysis highlights: (i) travel’s role in revealing authentic existence, (ii) authenticity as a discovered truth, not a theoretical goal, and (iii) phenomenology’s potential to challenge positivist approaches and support human-centered practices. The study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existential experience design in tourism an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6호 목차
- 오버투어리즘 개념모형 개발 - 북촌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여가로서 평생학습이 지닌 의미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 비문해·저학력 고령 여성을 중심으로
- 가치-기대 모델에 기반한 완도 해양치유센터 방문자의 재방문의도 분석 - 구조방정식(PLS-SEM)과 퍼지셋질적비교분석(fsQCA)을 통한 분석
- 랜선 투어의 경험적 가치가 지역 브랜드애착, 긍정적 감정, 관광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관광·호스피탈리티 연구에서의 NCA(Necessary Condition Analysis) 적용 인과추론에 대한 대안적 방법론과 이론적 시사점
- 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고객 관점의 무례행동 - 병리적 자기애와 귀인양식을 중심으로
- 한국 관광 플랫폼의 AI 기반 맞춤형 추천 시스템 탐색 - 구조와 특성을 중심으로
- Bai-Perron 검정을 활용한 방한 관광 수요 구조변화 분석 - 주요 국가별 구조변화 시점 탐지와 관광 위기 유형화
- 여행의 실존적 의미 - 다큐멘터리 ‘고독한 훈련사’의 현상학적 해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7호 목차
- 주민 주도의 커뮤니티 기반 관광(CBT) 형성 및 성공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정선군 고한읍 마을호텔 18번가를 중심으로
- 관광목적지에서 원주민과 이주민의 관계적 폭력성 연구: host-guest 프레임워크의 폐기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