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PA 기법을 활용한 클래식 공연상품 소비자 구매행동과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공공공연장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Selection Attributes of Classical Concert Products Using the IPA Method : Focusing on Public Concert Halls in the Busan Region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김정화(JungHwa Kim)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75집, 337~36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공연장에서 클래식 공연을 관람한 관객을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기법을 활용하여 공연소비자의 구매행동 및 선택속성을 분석하고, 전략적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연상품, 공연장, 공연관계자, 공연진행과정, 판매촉진, 관람비용 등 여섯가지 핵심 요인에 기반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총 486부의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문항 단위 IPA 해석에 집중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문항 수준과 대항목 수준의 이중 분석을 통해 세부적 실무 개선 과제와 장기 전략 수립을 병행할 수 있는 실증자료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부분의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연장 주차장 편리성’과 ‘PC/모바일 예매 시스템’은 개선이 시급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공연의 예술성 및 작품성’, ‘프로그램 구성’, ‘연주자의 역량’, ‘공연장 음향 및 무대 환경’, ‘공연의 순조로운 진행’ 등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지속적인 품질 유지가 요구되는 핵심 경쟁력 항목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연의 독창성 및 혁신성’, ‘할인 혜택 제도’, ‘SNS 홍보’ 등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은 항목으로, 점진적인 개선 혹은 전략적 재검토가 필요한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공연관계자의 용모와 복장’은 관객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으나 만족도는 높은 항목으로 나타나, 과잉투자보다는 자원 재배분이 바람직한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성과 공연 유형의 특수성을 반영한 정교한 소비자 분석을 바탕으로, 클래식 공연소비자의 의사결정 요인과 서비스 개선 방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IPA 기법을 문항 단위와 요인 단위로 병행 적용함으로써, 공연장과 기획자가 단기 실행과 중장기 전략 수립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나아가 지역 공공공연장의 특수성과 민간 공연장의 운영 환경 차이를 고려한 정책적 접근, 디지털 기반의 편의성 강화, 관객 맞춤형 서비스 설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별·세대별·공연 장르별 비교를 통해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고, 실증 기반의 문화정책 및 공연예술 마케팅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urchasing behavior and decision-making attributes of classical concert audiences in public venues in Busan, Korea,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six key factors—concert product, venue, staff, process, promotion, and cost—each comprising multiple sub-items. A total of 486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ing, and IPA. Unlike previous studies focusing solely on item-level analysis, this study adopted both item- and factor-level IPA to derive insights applicable to short-term service improvements and long-term strategic plann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for most attributes, performance lagged behind importance. Notably, “convenience of concert hall parking” and “ease of online/mobile booking” emerged as critical areas needing immediate improvement. In contrast, elements such as “artistic quality,” “program composition,” “performer competence,” “venue acoustics and stage environment,” and “smooth execution of the performance” were rated high in bot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highlighting the need for sustained quality management. Meanwhile, attributes like “originality and innovation” and “discount programs” received low ratings in both dimensions, suggesting lower priority for investment. The attribute “appearance and attire of concert staff” showed low importance but high satisfaction, indicating potential overinvestment. This study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music consumption and regional cultural infrastructure. By applying dual-level IPA, it offers actionable guidance for both immediate improvements and strategic development in public performance venues.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comparisons across regions, age groups, and performance genres to enhance generalizability and support evidence-based cultural policy and man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화(JungHwa Kim). (2025).IPA 기법을 활용한 클래식 공연상품 소비자 구매행동과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공공공연장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 337-367

MLA

김정화(JungHwa Kim). "IPA 기법을 활용한 클래식 공연상품 소비자 구매행동과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공공공연장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2025): 337-3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