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을 미술 축제의 체험속성이 경험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4 양림골목비엔날레를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Impact of Festival Experience Attributes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2024 Yangnim Biennale Case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박기원(kiwon Park) 강신겸(shingyeom Kang)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75집, 281~31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민 주도형 마을 미술 축제인 ‘2024 양림골목비엔날레’를 사례로 하여, 축제 체험속성이 방문객의 경험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자료를 수집하고,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축제 체험속성 중 예술성과 장소성은 방문객의 유익성 및 심미성 지각을 높여 정서적 공감과 미적 몰입을 강화했다. 또한 경험 가치 요인 중 심미성과 유희성만이 방문객 만족도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심미성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또한 즐거움(유희성)과 미적 몰입(심미성)은 단순한 긍정적 정서를 넘어, 방문객이 축제 장소의 의미를 해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정체성과 소속감을 다시 인식·강화하며, 최종적으로 축제 만족도를 향상하는 핵심 경로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마을 미술 축제에서 감성적·상징적 가치가 만족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천적 시사점으로, 방문객의 정서적 몰입과 즐거움의 확대를 위해 역사성, 예술성을 반영한 몰입형 콘텐츠로 심미성을 강화하고, 이야기 기반 공간 큐레이션으로 장소성을 부각하며, 주민과 방문객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운영 전략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attributes, experiential value, and visitor satisfaction at the resident-driven “2024 Yangnim Alley Biennale,” a village art festival. Survey data collected from festival visitors were analyz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 that two experience attributes—artistry and contextuality (place-based qualities)—significantly enhance perceived utility and aesthetic value, thereby strengthening emotional resonance and aesthetic immersion. Among the experiential value dimensions, only aesthetic value and emotional enjoyment exert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isitor satisfaction, with aesthetic value showing the greatest influence. Moreover, enjoyment and aesthetic immersion operate as core mechanisms that extend beyond mere pleasant feelings: they enable visitors to interpret the festival space (place comprehension), reaffirm and reinforce their place-related identity, and ultimately elevate overall satisfac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affective and symbolic values are pivotal in shaping satisfaction at village art festivals.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e: (1) amplifying aesthetic value through immersive content that reflects local history and artistic sensibilities, (2) highlighting contextuality via story-driven spatial curation, and (3) fostering strategies that encourage spontaneous participation by residents and visitors alike, thereby maximizing emotional engagement and enjoy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원(kiwon Park),강신겸(shingyeom Kang). (2025).마을 미술 축제의 체험속성이 경험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4 양림골목비엔날레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 281-310

MLA

박기원(kiwon Park),강신겸(shingyeom Kang). "마을 미술 축제의 체험속성이 경험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4 양림골목비엔날레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2025): 281-3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