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웹(Web)기술과 미술 소비의 형태적 변화 연구

이용수  24

영문명
Web Technologies and the Evolution of Art Consumption Patterns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이그림(Geulim Lee)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75집, 247~28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웹 기술의 역사적 전개와 한국 사회의 디지털 전환이 미술 소비 구조에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했는지를 시대적 흐름과 제도적 구조의 맥락에서 고찰한다. 웹 1.0의 정적 정보 제공, 웹 2.0의 상호작용 기반 플랫폼, 웹 3.0의 의미·관계 정보 공유 및 웹 3의 탈중앙화로 이어지는 흐름은 단순한 정보기술의 진화를 넘어섰다. 특히 1997년 IMF 외환 위기를 계기로 추진된 국가 주도의 정보화 정책과 디지털 뉴딜 전략은 한국 미술 시장의 디지털 전환의 제도적 기초를 놓은 점을 확인하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형성된 미술 소비 방식의 변화와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기존 학술연구, 정책 문서, 언론 보도, 플랫폼 운영자료 등 다양한 2차 문헌 자료를 기반으로 해석 중심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웹 기술은 미술의 감상 방식과 유통 구조, 나아가 자산화 및 금융화 양상에 이르기까지 총체적 변화의 주요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렇듯 오늘날 미술 소비는 감상과 구매를 넘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분산적 경험과 자산으로서의 거래로 재정의되고 있다. 또한 플랫폼 중심의 관계적 소비 모델과 미술의 자본시장 편입이라는 구조적 전환을 환기하며, 웹 기술의 발전이 미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통시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하여 기술사·정책사·미술사 간 학제적 연계를 통해 미술 소비와 제도의 변화를 다층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연구적 토대를 마련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web technologies and Korea’s digital transformation have shaped the structure of art consumption, situating the inquiry within broader socio-historical flows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The trajectory from the static information delivery of Web 1.0, to the interactive platforms of Web 2.0, to the semantic and relational information sharing of Web 3.0, and finally to the decentralization of Web3, extends beyond a mere technological evolution. In particular, the state-led informatization policies initiated in the wake of the 1997 IMF financial crisis, along with subsequent strategies such as the Digital New Deal, laid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art market. Within this context, the study traces the processes and changes in art consumption that emerged. Methodologically, the research adopts a qualitative, interpretive approach, drawing upon diverse secondary sources including academic studies, policy documents, news reports, and platform operation record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web technologies have served as a primary driver of comprehensive changes in art—shaping modes of appreciation, systems of distribution, and extending further into assetization and financialization. Today, art consumption has been redefined to move beyond viewing and purchasing, encompassing decentralized experiences and transactions as assets via online platforms. This shift underscores the rise of platform-based relational consumption models and the structural incorporation of art into capital markets. The study’s significance lies in its diachronic analysis of how web technologies have impacted art consumption. Furthermore, by integrating perspectives from the histories of technology, policy, and art, it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multi-layered inquiry into the transformations of art consumption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그림(Geulim Lee). (2025).웹(Web)기술과 미술 소비의 형태적 변화 연구. 예술경영연구, (), 247-280

MLA

이그림(Geulim Lee). "웹(Web)기술과 미술 소비의 형태적 변화 연구." 예술경영연구, (2025): 247-2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