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stablishing ESG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Visual Arts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예술경영학회
- 저자명
- 정다빈(Da-Bin Chung) 구정우(Jeong Woo Koo)
- 간행물 정보
- 『예술경영연구』제75집, 5~3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예술산업 내 주체 간의 교류와 소통의 중심인 뮤지엄에 주목하여, 시각예술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ESG 경영 프레임과 지표 체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글로벌 ESG 평가 지표, 시각예술산업 내 이니셔티브, 국내외 주요 뮤지엄 실천 사례를 검토하여, 주요 쟁점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대 · 중 · 소분류로 구조화된 3단계 프레임과 구조 · 과정 · 결과를 반영한 지표 체계를 설계하였으며, 전문가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타당성과 실행 가능성을 검증하였고,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시각예술산업의 공공성, 창의성, 다양성, 자원순환 등 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하면서도 ESG의 보편성과 조화를 이루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n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anagement framework and a set of indicators tailored to the visual arts sector, with a particularfocus on museums as key platforms for stakeholder communication and exchange. Drawing on global ESG standards, sector-specific initiatives, and case studies from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museums, the research identifies critical challenges and unmet needs within the field. The proposed model comprises a three-tieredstructure (macro, meso, micro) and a set of indicators organized across input, process, and outcome dimensions. Validity and feasibility were assessed through expert focusgroup interviews (FGIs), based on which indicator weights were determined. By balancing universal ESG principles with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arts — such as public responsibility, creativity, diversity, and resource circulation — this study offers a contextually grounded yet scalable approach to ESG integrationwithin the sect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경영연구 제75집 목차
- 문화적 자선의 실천으로서 사립미술관 경영 - 정신·실천·성과·가치의 순환 구조와 정책적 시사
- 광주비엔날레와 글로컬리즘 - 국제큐레이터코스(GBICC)의 사례를 중심으로
- 웹(Web)기술과 미술 소비의 형태적 변화 연구
- 시민참여 문화활동이 정주의사에 미치는 경로 분석 - 사회적 자본과 지역애착을 매개로
- 시각예술산업 ESG 평가 지표 구축을 위한 연구
- 사회적 의제를 예술로 번역하기 -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본 공연예술 콘텐츠 제작과정의 변화
- MBN 미술 예능프로그램 「화100」을 통해 본 작품 평가시스템의 예능화 연구
- IPA 기법을 활용한 클래식 공연상품 소비자 구매행동과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공공공연장을 중심으로
- 마을 미술 축제의 체험속성이 경험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4 양림골목비엔날레를 중심으로
- 무형문화유산 ‘기지시줄다리기’의 주민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천 배다리 헌책방골목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Vol.30 No.9 Contents
-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for Building a Sustainable Ecosystem in Rural Entrepreneurship
- Driving Startup Performance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 The Mediating Effects of Efficiency and Brand Position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