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형문화유산 ‘기지시줄다리기’의 주민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Gijisi Tug-of-Wa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백지연(Jiyeon Baek) 김선영(Sunyoung Kim)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75집, 171~20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청남도 당진의 무형문화유산인 ‘기지시줄다리기’에 대한 주민 참여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이 유산이 지역 주민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경험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기지시줄다리기에 참여한 주민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부 주민들은 가족 또는 지인과 함께하는 경험을 통해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였으나, 대부분의 축제 참여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며, 기지시줄다리기를 타자화된 유산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또한 유네스코 등재가 주민들의 자긍심을 고양시켰지만, 줄다리기 자체에 대한 몰입으로 이어지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전통 보전에 중점을 둔 축제 형식은 젊은 세대와의 접점을 형성하지 못한 채 문화적 거리감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더불어, 반복되는 축제 콘텐츠와 부대행사는 주민들로 하여금 수동적 참여에 머물게 했으며, 공동체 실천 주체의 편중과 세대 간·마을 간 단절은 공동체 의식의 확산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의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지시줄다리기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징성과 역사성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과 청년 및 외부인의 유입을 촉진할 수 있는 구조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세대 간 협업을 통한 줄 제작, 마을 단위 리그전과 같은 능동적 참여 프로그램의 도입을 통해 세대 통합과 지역 공동체의 유대감을 강화해야 한다. 더불어 문화해설자 양성이나 기지시줄다리기 기반 창작 실험 공간 운영과 같은 실천적 전승 구조를 마련하고, 줄을 활용한 굿즈 개발 등 장기적 관점에서의 무형문화유산 활용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이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 아닌 지역사회 구성원 전체가 참여하고 실천하는 과정이 되는 데 있어 실무적·학술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ow Gijisi Juldarigi,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Dangjin, Chungcheongnam-do, is perceived and experienced by local residents by analyzing their participation experienc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resi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event,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findings reveal that while some participants formed emotional bonds through shared experiences with family or acquaintances, most festival participation was largely formal and characterized by a tendency to perceive Gijisi Juldarigias an objectified, external heritage. Although UNESCO inscription enhanced a sense of pride among residents, it did not necessarily lead to deeper engagement with the practice itself. Moreover, the traditional format of the festival, which emphasizes preservation, failed to resonate with younger generations, further widening the cultural gap. Repetitive festival content and auxiliary programs limited active engagement, while generational and inter-village disconnections, along with the concentration of agency in a few individuals, restricted the broader diffusion of communal identit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To address the challenges facing Gijisi Juldarigi,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orytelling content grounded in its symbol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and to establish structural foundations that can attract youth and external participants. Intergenerational cooperation-such as collaborative rope-making and village-level league competitions-should be promoted to strengthen generational integration and the sense of community. Additionally, practical transmission structures, such as training cultural interpreters and operating creative experimental spaces based on Gijisi Juldarigi, must be established. Long-term strategies should also includ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goods utilizing the rope as a symbolic medium in everyday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not be the exclusive domain of a specific group, but should occur through participatory and collective practices involving the entire local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지연(Jiyeon Baek),김선영(Sunyoung Kim). (2025).무형문화유산 ‘기지시줄다리기’의 주민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 171-205

MLA

백지연(Jiyeon Baek),김선영(Sunyoung Kim). "무형문화유산 ‘기지시줄다리기’의 주민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2025): 171-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