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Baedari Secondhand Bookstore Alley in Inchoen
- 발행기관
- 한국예술경영학회
- 저자명
- 박수희(Su Hi Park) 장석류(Seok Ryu Jang)
- 간행물 정보
- 『예술경영연구』제75집, 207~24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삶과 기억이 축적된 인천 동구 배다리 헌책방골목의 가치를 지역문화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운영자·이용자·지역사회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천 배다리 헌책방골목의 특징·가치·역할을 고찰하고 SWOT 분석하여,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핵심 요인으로 자립적 운영기반 확보, 로컬플랫폼 역량 강화, 공공 지원체계 구축을 가설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배다리 헌책방지기를 중심으로 7개 관련 분야에서 총 16명과 심층 인터뷰하여 구체적인 지속 가능 방안을 탐색했다. 연구 결과, 자립적 운영기반 확보 부분에서는 취향공동체를 기반으로 안정된 헌책 수급과 주체적 고객층을 형성하고 상품·공간 특성화 전략과 SNS를 기반으로 하는 홍보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로컬플랫폼 역량 강화 부분에서는 골목상권 경쟁력과 문화거점 기능을 강화하고 책방협의체 활동과 에코뮤지엄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 요구된다. 공공 지원체계 구축 부분에서는 공공 인프라 구축 및 헌책방지기를 중심으로 헌책방골목의 가치를 드러내고 판매에 집중하는 책문화 활성화 사업과 지역 문화생태계·공동체의 연속성을 유지·증진하는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이 필요하며, 나아가 공공공간 조성과 민·관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책문화 네트워크 플랫폼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value of Baedari Used Bookstore Alley in Dong-gu, Incheon, where the lives and memories of residents are accumulated. We approach this from a local cultural perspective, emphasizing the crucial role of the community in the alley's sustainabilit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roles of Baedari Used Bookstore Alley in Incheon and conducting a SWOT analysis, we hypothesized that securing an independent operating base, strengthening local platform capabilities, and establishing a public support system were key factors in achieving sustainability. To explore this further,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16 people from seven related fields, focusing on Baedari Used Book Prevention, to identify specific sustainability meas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in terms of securing an independent operating base, stable supply and demand of used books based on the community of taste, forming an independent customer base, product and space characterization strategies, and public relations capabilities based on SNS are necessary. In the area of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the local platform,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alleyways and cultural hub functions, and to expand the activities of the bookstore consultative body and the functions of eco-museum. In the part of establishing a public support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a book culture revitalization project that reveals the value of used bookstore alleys and focuses on sales, focusing on building public infrastructure and preventing used books, and a project to revitalize alleyways that maintain and promote the continuity of local cultural ecosystems and communities are needed. This underscores the crucial role of public support in the sustainability of Baedari Used Bookstore Alley, and the need for everyone's involvement. Furthermore, it can be expanded to a book culture network platform based on the creation of public spaces and public-private govern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경영연구 제75집 목차
- 문화적 자선의 실천으로서 사립미술관 경영 - 정신·실천·성과·가치의 순환 구조와 정책적 시사
- 광주비엔날레와 글로컬리즘 - 국제큐레이터코스(GBICC)의 사례를 중심으로
- 웹(Web)기술과 미술 소비의 형태적 변화 연구
- 시민참여 문화활동이 정주의사에 미치는 경로 분석 - 사회적 자본과 지역애착을 매개로
- 시각예술산업 ESG 평가 지표 구축을 위한 연구
- 사회적 의제를 예술로 번역하기 -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본 공연예술 콘텐츠 제작과정의 변화
- MBN 미술 예능프로그램 「화100」을 통해 본 작품 평가시스템의 예능화 연구
- IPA 기법을 활용한 클래식 공연상품 소비자 구매행동과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공공공연장을 중심으로
- 마을 미술 축제의 체험속성이 경험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4 양림골목비엔날레를 중심으로
- 무형문화유산 ‘기지시줄다리기’의 주민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천 배다리 헌책방골목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Vol.30 No.9 Contents
-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for Building a Sustainable Ecosystem in Rural Entrepreneurship
- Driving Startup Performance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 The Mediating Effects of Efficiency and Brand Position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