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여가활동 유형별 옴니보어 연구 - 문화예술관람과 스포츠참여를 중심으로

이용수  10

영문명
A Study on Omnivore by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 Focusing on Cultural Arts Viewing and Sports Participation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설정헌(Jeung-heon Sul) 허식(Shik Heo)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8권 제2호, 81~11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국민의 주요 여가생활 중 문화예술관람과 스포츠참여의 향유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유형별 집단세분화를 시도하였다. 특히 한국의 여가시장내 옴니보어이론에 입각하여 다양한 장르를 수용하는 옴니보어집단의 실존여부를 파악하고, 이 집단의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문화예술관람 옴니보어와 스포츠참여 옴니보어가 그들의 영역만을 즐기는 것이 아닌 서로의 영역을 다양하게 향유하는지를 확인하여, 여가활동의 두 영역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2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문화예술관람 패턴에 따라 ‘비참여’집단, ‘시각예술’집단, ‘대중문화’집단, ‘문화예술옴니보어’집단으로 총 4개의 잠재집단을 도출하였고, 스포츠참여는 ‘비참여’집단, ‘피트니스’집단, ‘스포츠옴니보어’집단으로 총 3개의 잠재집단을 도출하였다. 추가로,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각 집단이 어떠한 결정요인에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였다. 주요결과로는 문화예술옴니보어집단은 문화자본의 영향이 경제자본에 비해 강한 반면, 스포츠옴니보어집단은 문화자본보다 경제자본의 영향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화예술옴니보어집단은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관람뿐만 아니라, 스포츠활동도 다양하게 즐기고 있었고, 스포츠옴니보어집단 역시 다른 집단에 비해 문화예술을 다양하게 관람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곧 문화예술과 스포츠사이의 관련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스포츠와 문화예술의 융합적 향유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여가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주요 정보를 제공한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국민의 육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해 문화예술 관람과 스포츠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문화소외계층의 접근성 개선을 비롯해 구체적 정책 방안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aper attempted group segmentation by type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to find out the pattern of enjoying cultural arts viewing and participation in sports among the major leisure of the people. Specifically, after grasping the existence of an omnivore group that accepts various genres based on the omnivore theory in the Korean leisure market, the determinants of this group were researched. Furthermore, understanding the fluidity of the two major areas of leisure activities by checking whether cultural and arts viewing omnivore and sports participation omnivore enjoy each other's areas in a variety of ways rather than just their areas will be studied. Using the “2022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data”, the study derived a sum of four groups into the non-participation group, the visual art group, the popular culture group, and the cultural arts omnivore group according to the cultural arts viewing pattern, and three groups were derived into the non-participation group, the fitness group, and the sports omnivore group according to the sports participation pattern. In addition, we studied what determinants each group is affected by through multinomial logit. The main result is that the cultural arts omnivore group has impact on cultural capital than economic capital, while the sports omnivore group has impact on economic capital than cultural capital. In addition, the cultural arts omnivore group enjoyed a variety of sports activities as well as cultural artistic viewing of various genres, and the sports omnivore group was also found to be more likely to view cultural arts in a variety of way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crucial information in the development of leisure activity programs that enable the convergence of sports and cultural and ar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specific policy measures, such a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ultural arts viewing and sports participation and improving access for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can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he public.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자료 및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설정헌(Jeung-heon Sul),허식(Shik Heo). (2025).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여가활동 유형별 옴니보어 연구 - 문화예술관람과 스포츠참여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28 (2), 81-112

MLA

설정헌(Jeung-heon Sul),허식(Shik Heo).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여가활동 유형별 옴니보어 연구 - 문화예술관람과 스포츠참여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28.2(2025): 81-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