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SG 경영에 관한 공공문화재단 종사자들의 인식 유형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Perception Types of ESG management Among Employees of Public Foundations for Arts and Culture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김희은(Hui Eun Kim) 김선영(Sun Young Kim)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8권 제2호, 25~6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ESG 경영은 기업과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점차 문화예술 분야로 확산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문화재단 종사자들의 ESG 경영에 대한 인식은 아직 충분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문화재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ESG 경영에 대한 인식 유형을 도출하고, 각 유형의 특성과 그 함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30명의 공공문화재단 종사자를 대상으로 9점 척도 기반의 Q 분류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ESG 경영에 대한 인식은 외부조건중시형, 문화예술접목형, 적극수용형, 내부교육기반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외부조건중시형’은 실행 가능성을 제도적 기반과 외부 조건에 따라 판단하며, 체계적인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문화예술접목형’은 ESG 경영이 문화예술 고유의 가치와 맥락을 해치지 않도록 신중하게 도입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지니며, 강제적 도입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적극수용형’은 ESG 경영을 조직 운영과 사회적 책임 실현의 기회로 인식하고, 리더십과 내부 동기 강화에 기반한 자발적 실천을 강조하였다. ‘내부교육기반형’은 구성원의 인식 변화와 조직 내 소통, 교육이 실행의 출발점임을 강조하며, 문화예술 조직에 맞는 맞춤형 학습과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ESG 경영이 일률적인 정책수용이 아니라, 조직의 인식 수준과 여건, 문화예술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해 및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형별 맞춤 전략과 단계적 실행, 공감 기반의 교육 및 소통체계를 통해 ESG 경영의 실질적 정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erception types of ESG management among public foundations for Arts and Culture employee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ach type. Using Q methodology, a Q-sorting based on a 9-point scale was conducted with 30 public cultural foundation employees. The results revealed four perception types of ESG management: “Institution-dependent,” “Context-sensitive,” “Proactive acceptance,” and “Education-driven.” Differences in implementation methods and acceptance conditions were observed among the types. The Institution-dependent type emphasized institutional foundations, the Context-sensitive type highlighted the reflec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contexts, the Proactive acceptance type stressed leadership and execution capacity, and the Education-driven type underscored education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ailored strategies, empathy-based education, and phased implementation can facilitate the effective adoption of ESG management, providing practical foundational data for the sustainability of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and policy desig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문제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은(Hui Eun Kim),김선영(Sun Young Kim). (2025).ESG 경영에 관한 공공문화재단 종사자들의 인식 유형 연구. 문화경제연구, 28 (2), 25-60

MLA

김희은(Hui Eun Kim),김선영(Sun Young Kim). "ESG 경영에 관한 공공문화재단 종사자들의 인식 유형 연구." 문화경제연구, 28.2(2025): 25-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