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의 인간관계 만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 차별 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iscrimination on Links Between Relationship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Young Adults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이상미(Sangmi Lee)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8권 제2호, 213~23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의 인간관계 만족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 경로에서 차별 경험이 조절 변수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수행한 「2022년 서울시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자료 중 만 19세~34세 청년 592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간관계 만족, 자아존중감, 차별 경험, 우울 수준을 측정하고, SPSS 28.0 및 PROCESS macro 4.2를 이용하여 매개효과(Model 4), 조절효과(Model 1), 조절된 매개효과(Model 14)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인간관계 만족은 자아존중감을 통해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차별 경험 수준에 따라 조절되었으며, 차별 경험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의 보호 효과는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인간관계 만족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차별 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차별 경험이 높을수록 경로의 간접효과는 커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차별 경험이 심리적 보호 경로의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청년기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관계 만족, 자아존중감, 차별 경험 간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합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청년 정신건강 중재 및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and to examine whether this mediating path is moderated by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2022 Seoul Mental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Seoul Foundation of Women and Family were analyzed, focusing on responses from 592 young adults aged 19 to 34. Measures included relationship satisfaction, self-esteem,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levels of depression. SPSS 28.0 and PROCESS macro 4.2 were used to test the mediation (Model 4), moderation (Model 1),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Model 14). The results revealed three key findings. First,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self-esteem. Second, the protective effect of self-esteem on depression was moderated by the level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specifically,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was stronger among those who reported higher levels of discrimination. Third,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 indicating that the pathway from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depression via self-esteem varied depending on discrimination experienc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interpers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in youth mental health. The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relational and identity-related factors influence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and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for designing interventions and policy respon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미(Sangmi Lee). (2025).청년의 인간관계 만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 차별 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문화경제연구, 28 (2), 213-236

MLA

이상미(Sangmi Lee). "청년의 인간관계 만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 차별 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문화경제연구, 28.2(2025): 213-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