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Negotiation of Household Labor and Childcare and the Reproduction of Gender Power - A Study of Dual-Earner Couples with Early School-Ag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조명희(Myung-Hee Cho)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28권 제2호, 237~26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학령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가사와 자녀 양육의 역할 분담 협상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했다. 역할 분담 결과에 초점을 맞춘 정태적 분석에서 벗어나, 본 연구는 실제 부부 관계 맥락에서 협상의 역동성과 메커니즘을 탐구했다. 분석 결과, 출산 후 아내에게 양육 부담이 집중되며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성별화된 역할 구조 속에서 비대칭적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여성=주 양육자, 남성=주 생계부양자'라는 전통적 성 역할 규범은 맞벌이라는 조건 속에서 와해된 듯 보이지만, '역할 우선순위'라는 형태로 재구성되어 여전히 작동했다. 이로 인해 아내가 소득에서 우위를 점하더라도 기존 구도를 전환하기는 어려웠으며, 협상은 남편의 생계부양자 지위를 위협하지 않는 범위에서만 가능했다. 초기 적극적 협상을 시도했던 아내들은 점차구조적 한계를 체감하며 적응과 타협으로 대응했다. 이러한 불균형은 단순한 노동배분을 넘어 개인 및 가족의 여가활동과 생활양식 전반에 걸쳐 젠더화된 기대와 실천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따라서 역할 분담의 균형을 위해 부부 단위 성평등한 역할 파트너십 제도 강화, 부모 대상 양육 기술 교육, 공동 양육 모델 확산을 위한 미디어 교육 등 사회문화적 조건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qualitatively examines how dual-earner couples with early school-age children negotiate the division of housework and childcare, moving beyond outcome-focused, static accounts to the dynamics and mechanisms of negotiation. We find that bargaining typically begins as care work concentrates on wives after childbirth and then unfolds asymmetrically within gendered role structures. The normative pairing of “mother-caregiver/father-breadwinner,” though seemingly unsettled under dual earning, is reconstituted as a “priority of roles” that narrows what is negotiable. When husbands hold advantages in income or time, negotiations center on instrumental efficiency; when wives hold such advantages, practical criteria recede and traditional norms silently set the baseline, keeping egalitarian value questions off the table. As a result, bargaining proceeds only insofar as it does not threaten men’s breadwinner status, and many wives shift from early assertive bargaining to accommodation. These dynamics spill over into leisure and family lifestyles. The findings suggest strengthening egalitarian couple partnerships, parenting-skills education, and media initiatives promoting co-parenting.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설계
Ⅳ. 성별화된 역할 분담의 자연화와 불평등한 협상 조건
Ⅴ. 가사·양육 협상과 젠더 권력의 재생산
Ⅵ. 역할 협상 결과와 인식의 구성
Ⅶ.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예술 부문의 재정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 OTT 서비스 이용자의 추가구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PM 모델을 중심으로
- 기혼 여성 팬덤활동의 제약요인 연구
- 축제 테마곡의 창작과 정체성 구축 - 안양 춤축제 ‘별빛 안양밤’ 사례의 경영적 분석
- 맞벌이 부부의 가사·양육 협상과 젠더 권력의 재생산 - 초기 학령기 자녀를 둔 부부를 중심으로
- ESG 경영에 관한 공공문화재단 종사자들의 인식 유형 연구
- 동물 관광에 내재한 주요 문화적 쟁점에 관한 탐색적 고찰
- The Role of Inflation in Shaping Vietnam’s Economic Growth - A New Perspective from the DYNARDL Model
-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여가활동 유형별 옴니보어 연구 - 문화예술관람과 스포츠참여를 중심으로
- 공공도서관의 성인 독서 증진 효과 - 소득 수준에 따른 이질적 효과 분석
- 청년의 인간관계 만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 차별 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 보도자료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한국가족복지학
- 페미니즘연구
- 경제와 사회
- 가족과 문화
- 보건복지포럼
- 가족과 문화
- KDI FOCUS
- 사회사상과 문화
- 문화경제연구
- 한국사회
- 한국가정관리학
- 한국가족복지학
- 육아정책연구
- 경제와 사회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 Social Forces
- Negotiation Journal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 Critical Inquiry
- Gender, Work & Organization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of the Family
- American Economic Review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Advanced Nursing
- Developmental Psychology
-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 Demography
-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 Annual Review of Sociology
- Gender & Society
- Gender & Society
-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문화예술 부문의 재정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 OTT 서비스 이용자의 추가구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PM 모델을 중심으로
- 기혼 여성 팬덤활동의 제약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