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Training Program 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indfulness, Distress Tolerance and Interpersonal Skills in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백승아(Seung-A Paek) 김지은(Ji-Eun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6권 2호, 64~8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조절곤란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마음챙김, 고통감내력, 대인관계능력을 함양하도록 돕고자 진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총 5회기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가운데 정서조절 곤란을 경험하는 대학생 85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마음챙김 척도, 고통감내력 척도,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추후 시점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분석한 결과,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부정적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수준이 사전보다 사후에 감소하였고, 마음챙김, 대인관계능력 수준은 사전보다 사후에 증가하여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교육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반면, 긍정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고통감내력 수준도 사전보다 사후에 변화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긍정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마음챙김, 대인관계능력을 향상하고 부정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고통감내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college students with emotional dysregulation difficulties develop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indfulness, distress tolerance, and interpersonal skills through 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DBT) training program.
Methods To achieve this,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sessions. To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85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cale, the Mindfulness Scale,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and the Interpersonal Skills Scale, and they were assessed at pre-, post-, and follow-up points.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dialectical behavior therapy(DBT) training program showed a decrease in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rom pre- to post-test, while their mindfulness and interpersonal skills increased from pre- to post-test,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BT training program. On the other hand, although posi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istress tolerance levels changed from pre- to post-test, the chang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 effective intervention plan was proposed to improve college students' posi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indfulness,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to reduce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istress tolera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2호 목차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마음챙김, 고통감내력,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놀이전문성의 매개효과와 교수창의성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역량과 소진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이 교사-영아 간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흙놀이를 매개로 한 영아의 배려적 사고와 심리적 건강성 발달 경험: 부모-교사 교류 기반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2호 목차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마음챙김, 고통감내력,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