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Blocks through Simulated Rainfall Experiments and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Test Methods for Permeable Pavement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차성민(Sung Min Cha) 이정민(Jung Min Lee) 박재록(Jaerock Park) 김재문(Jae Moon Kim) 김명인(Myungin Kim) 권순철(Soonchul Kw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4호, 171~17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투수블록은 도시 지역에서의 극한 강우에 대응하기 위한 기후변화 적응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나, 다양한 강우 강도에 따른 유출 저감 성능은 정량적으로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50, 100, 150 mm/h의 3가지 인공강우 시나리오 기반으로 옥외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하여 투수블록의 유출저감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내에 조성된 테스트베드에 유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진행되었으며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수 회귀모형을 활용한 유출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모든 강우 조건에서 투수블록이 효과적인 유출저감 성능을 보였으며, 예측값과 관측값 간 상관계수는 0.991~0.995 (p < 0.05)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고정밀 기후 시뮬레이션 실험 시설인 에코트론에서 투수블럭 실험 방법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도시 침수 대응을 위한 투수포장 시스템의 실증적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ermeable blocks have been increasingly adopted as climate adaptation technologies to mitigate the impacts of extreme rainfall in urban areas. However, quantitative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under varying rainfall intensities has not been sufficiently validated. In this study, controlled outdoor artificial rainf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three rainfall scenarios (50, 100, and 150 mm/h)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ermeable blocks in reducing surface runoff. A runoff monitoring system was installed at a testbed site on the Yangsan campu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to quantify outflow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data were used to develop a runoff prediction model based on an exponential regression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meable blocks effectively reduced runoff across all rainfall scenarios,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observed and predicted values ranging from 0.991 to 0.995 (p < 0.05). This indicated a strong predictive relationship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xperimental design guidelines for future high-precision climate simulation experiments and support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permeable pavement systems for urban flood mitigation.
목차
1. 서 론
2. 자료 및 방법
3. 결 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4호 목차
- 지르코늄 합금 스크랩 화재 안전성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역 맞춤형 폭염 위기경보 체계 개발: 대한민국 자료 기반 적응형 위험관리 접근
- 국내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설현장 화재 위험 예측을 위한 ANN 모델 개발
- 해수면상승에 따른 재해취약지역의 공간적 특성 분석
- 온열질환자 발생가능성의 격자 기반 대시메트릭 매핑
- 도심 내 건물 및 지형 조건을 고려한 대기확산 모의 비교: 라그랑지안 입자 확산 모델과 가우시안 플룸 모델
- 우리나라의 최근 60년간 산불발생 잠재성 추이에 대한 연구
- 자연재해가 주택 가격 불균등에 미치는 영향
- 방사시험 및 소방대원 설문을 통한 50 mm 소방호스 사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현장 기반 공간위험요소를 활용한 재해위험도 평가
-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내화구조 성능 분석 및 보강 방안 연구
- 대형방화스크린셔터 엔드락과 가이드레일 이격거리에 따른 셔터면 건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 프리캐스트 바닥판-거더 조립식 연속 합성부를 갖는 거더의 구조성능 평가절차 개발 및 해석적 평가
- 농업용 저수지의 월류방지를 위한 L형 옹벽 구조물의 설계구조 적합성 및 수위별 침투특성 평가
- 국내 지반 함몰 현황 및 관리 체계 분석
- 주성분 분석 기반 회귀모형을 활용한 북한 홍수 및 태풍 피해 추정 연구
- 위성 관측자료 활용 확대에 따른 전지구 파랑자료동화 성능 개선
- 재난관리시설의 지역단위 지진위험도평가
- 기상학적인자를 고려한 강원지역의 돌발가뭄 발생특성 분석
- 인위적 강우 실험을 통한 투수블럭의 유출 특성 분석 및 투수포장 실험법 개발 시 검토사항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