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roving the Fire Safety of Zirconium Alloy Scrap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정훈(Junghoon Kim) 김형택(Hyungtaek Kim) 김의곤(Euigon Kim) 장경훈(Kyunghoon Jang) 손지환(Jihwan Son) 이종현(Jonghyeon Le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4호, 97~10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업현장의 지르코늄 합금 스크랩 화재 안전성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STM E1226-19 규격 기반 시험을 통해 스크랩의 발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철수세미형과 돼지꼬리형 스크랩이 가장 높은 발화 위험성을 보였으며, 최소착화에너지는 2.1 mJ로 측정되어 일상적 정전기로도 발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과의 반응성 실험에서는 발화 온도가 1,831.3 ℃에서 1,959.3 ℃로 상승하였다. 위험성 평가를 통해 기계적 마찰, 부적절한 청소도구, 전기설비 실링 미흡 등이 주요 위험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에 스파크방지 안전도구 사용, 전기외함 실링 강화,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d improve the fire safety of zirconium alloy scrap in industrial settings.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scrap were assessed through customized tests based on ASTM E1226-19 standard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steel wool-type and pig tail-type scraps exhibited the highest ignition risk, with a minimum ignition energy (MIE) of 2.1 mJ, indicating possible ignition from ordinary static electricity. In water reactivity tests, the ignition temperature increased from 1,831.3 ℃ to 1,959.3 ℃. The risk assessment identified mechanical friction, the use of inappropriate cleaning tools, and inadequate electrical equipment sealing as major hazards. Thereafter,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including mandating the use of spark-prevention safety tools, enhanced electrical enclosure seal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monitoring systems.
목차
1. 서 론
2. 지르코늄의 특성과 산업적 활용
3. 연구방법
4. 지르코늄 합금 스크랩의 최소착화 에너지
5. MIKE-3 실험 장비 제원
6. 지르코늄 분말의 폭발하한농도(Minimum Explosible Concentration, MEC)
7. 위험성 평가 방법
8. 시험결과 분석
9. 지르코늄 합금 스크랩의 산화 시 물과의 반응성
10. 지르코늄 합금 스크랩의 위험성 평가분석
11.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4호 목차
- 지르코늄 합금 스크랩 화재 안전성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역 맞춤형 폭염 위기경보 체계 개발: 대한민국 자료 기반 적응형 위험관리 접근
- 국내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설현장 화재 위험 예측을 위한 ANN 모델 개발
- 해수면상승에 따른 재해취약지역의 공간적 특성 분석
- 온열질환자 발생가능성의 격자 기반 대시메트릭 매핑
- 도심 내 건물 및 지형 조건을 고려한 대기확산 모의 비교: 라그랑지안 입자 확산 모델과 가우시안 플룸 모델
- 우리나라의 최근 60년간 산불발생 잠재성 추이에 대한 연구
- 자연재해가 주택 가격 불균등에 미치는 영향
- 방사시험 및 소방대원 설문을 통한 50 mm 소방호스 사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현장 기반 공간위험요소를 활용한 재해위험도 평가
-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내화구조 성능 분석 및 보강 방안 연구
- 대형방화스크린셔터 엔드락과 가이드레일 이격거리에 따른 셔터면 건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 프리캐스트 바닥판-거더 조립식 연속 합성부를 갖는 거더의 구조성능 평가절차 개발 및 해석적 평가
- 농업용 저수지의 월류방지를 위한 L형 옹벽 구조물의 설계구조 적합성 및 수위별 침투특성 평가
- 국내 지반 함몰 현황 및 관리 체계 분석
- 주성분 분석 기반 회귀모형을 활용한 북한 홍수 및 태풍 피해 추정 연구
- 위성 관측자료 활용 확대에 따른 전지구 파랑자료동화 성능 개선
- 재난관리시설의 지역단위 지진위험도평가
- 기상학적인자를 고려한 강원지역의 돌발가뭄 발생특성 분석
- 인위적 강우 실험을 통한 투수블럭의 유출 특성 분석 및 투수포장 실험법 개발 시 검토사항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