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의 최근 60년간 산불발생 잠재성 추이에 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Trends of Wildfire Potential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60 Years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구자헌(Ja-Heon Koo) 류정희(Jung-Hee Ryu) 강성락(Song-Lak Kang)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4호, 27~3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60년(1965-2024년) 동안 우리나라의 산불 발생 잠재성의 시간적 추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상청(KMA)의 종관기상관측시스템(ASOS)에서 수집된 지표 대기 변수, 특히 상대습도(RH)와 이를 기반으로 계산한 실효습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평균 상대습도의 공간적 분포와 시간적 추세를 조사하고, 기온 및 수증기압과의 통계적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평균 상대습도는 뚜렷한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기온의 증가 경향과 동반되었다. 반면, 수증기압의 추세는 상당한 공간적 변동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국지적 요인의 영향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60년 자료에서 추정된 건조경보 수준(실효습도가 25% 이하인 날이 2일 이상 연속되는 경우)의 재현주기는 강릉, 포항, 울산과 같은 동해안 지역과 부산, 대구와 같은 동남부 도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짧았다. 특히, 산불 발생 잠재성의 지표로 해석될 수 있는 건조경보 수준의 발생 빈도는 최근 30년 동안 그 이전 30년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실효습도 기반 건조경보 분석은 산불 발생 잠재성 추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며, 기후 변화 대응 및 산불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효습도 25% 이하 연속 건조경보 사건에 대해 단순 순위법(Simple Ranking Method)과 극한값 이론(Peaks Over Threshold 및 Block Maxima)을 적용하여 방법별 재현기간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건조 위험 평가의 정확성과 예측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 trend of wildfire potential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60 years (1965-2024) by analyzing surface-layer atmospheric variables, particularly relative humidity (RH) and its derived effective humidity, collect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stations.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trend of the annual mean RH were examined, along with their statistical correlations with temperature and vapor pressure. The analysis revealed a pronounced decline in the annual mean RH, which was generally accompanied by an increasing trend in temperature. In contrast, the vapor pressure trend exhibited substantial spatial variability, suggesting the influence of localized factors. Lastly, the return periods of the KMA’s warning level dryness events, defined as periods when effective humidity is ≤25% for two or more consecutive days estimated from the 60 years dataset indicate relatively short return levels in eastern coastal regions, such as Gangnueung, Pohang, and Ulsan, and southeastern cities, such as Busan and Daegu. Notably, the frequency of these warning-level dryness event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indicators of wildfire potential, ha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30 years. The effective-humidity-based analysis of dry warnings in this study enable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emporal trends in wildfire occurrence potential and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wildfire management policy development. In future research, we plan to strengthen the accuracy and predictive performance of drought-risk assessments by applying the Simple Ranking Method and extreme-value theory (Peaks Over Threshold and Block Maxima) to consecutive dry-warning events (effective humidity ≤25%) and comparing the return periods derived from each method.

목차

1. 서 론
2. 연구 자료 및 방법
3. 연구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자헌(Ja-Heon Koo),류정희(Jung-Hee Ryu),강성락(Song-Lak Kang). (2025).우리나라의 최근 60년간 산불발생 잠재성 추이에 대한 연구.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 (4), 27-39

MLA

구자헌(Ja-Heon Koo),류정희(Jung-Hee Ryu),강성락(Song-Lak Kang). "우리나라의 최근 60년간 산불발생 잠재성 추이에 대한 연구."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4(2025): 27-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