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iveness of Using a 50 mm Fire Hose: An Analysis Using Water Shooting Test and Surveying Firefighter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한용택(Yong-Taek Ha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4호, 63~7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소방대원들이 사용하는 40 mm와 65 mm 소방호스와 더불어 현재는 사용하고 있지 않는 50 mm 소방호스에 대한 활용 범위와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소방대원들을 대상으로 소방펌프차 내부의 소방호스 적재 실태 및 사용하는 소방호스에 대한 설문결과와 각각의 소방호스를 이용하여 0.3 MPa에서 1.2 MPa의 압력까지 상승시켜 방사거리를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결과, 국내 소방대원들은 대부분이 40 mm 소방호스를 준비 및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있으며, 65 mm 소방호스는 화재진압 시에는 강한 반발력 및 안전사고를 이유로 매우 적은 비율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0 mm 소방호스에 대하여 국내 소방대원들은 대부분 인지하고 있지 않으며, 이와같은 사용 경험이 없는 상태이므로 50 mm 소방호스에 대한 장·단점을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화재진압 시 소방대원들의 안전과 관련이 깊은 방사거리를 각각의 호스별, 압력별로 측정하였으며, 방사거리 측정결과 방사각도가 0° 상태에서는 40 mm 소방호스의 경우 1.2 MPa에서 20 m, 50 mm 소방호스의 경우 동일압력에서 22 m, 65 mm 소방호스에서 동일압력의 경우 23 m로 측정되었다. 방사각도를 조절하며 최대방사거리 측정결과 40 mm 소방호스의 경우 1.2 MPa에서 33 m, 50 mm 소방호스의 경우 동일압력에서 43 m, 65 mm 소방호스의 경우 동일압력에서 45 m정도로 측정되었으며, 이때의 각도는 30° 정도에서 최대방사거리가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50 mm 소방호스의 화재 진압 사용 시 방사거리에 대한 향상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cope and usability of the 40 mm and 65 mm fire hoses—commonly used by firefighters in Korea—and the currently discontinued 50 mm fire hose. A questionnaire about the loading conditions of fire hoses inside fire-pump trucks and the types of fire hoses used was administered to firefighters. Using each fire hose, we measured the shooting distance by increasing the pressure from 0.3 MPa to 1.2 MP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Most domestic firefighters prepare and use 40 mm fire hoses to extinguish fires but rarely use 65 mm fire hoses because of strong recoil and safety concerns. Most have no knowledge about 50 mm fire hoses,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refore, we measured the shooting distanc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afety of firefighters when extinguishing a fire. In particular, we measured each hose and its pressure. The shooting distance results showed that at the shooting angle of 0°, the 40 mm, 50 mm, and 65 mm fire hoses were 20 m, 22 m, and 23 m long, respectively, at the same pressure of 1.2 MPa. We measured the maximum shooting distance while adjusting the shooting angle. Consequently, the 40 mm, 50 mm, and 65 mm fire hoses measured 33 m, 43 m, and 45 m, respectively, at the same pressure of 1.2 MPa. The maximum shooting distance was measured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30°.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using a 50 mm fire hose will improve the shooting distance for more effective fire suppression.
목차
1. 서 론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결과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4호 목차
- 지르코늄 합금 스크랩 화재 안전성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역 맞춤형 폭염 위기경보 체계 개발: 대한민국 자료 기반 적응형 위험관리 접근
- 국내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설현장 화재 위험 예측을 위한 ANN 모델 개발
- 해수면상승에 따른 재해취약지역의 공간적 특성 분석
- 온열질환자 발생가능성의 격자 기반 대시메트릭 매핑
- 도심 내 건물 및 지형 조건을 고려한 대기확산 모의 비교: 라그랑지안 입자 확산 모델과 가우시안 플룸 모델
- 우리나라의 최근 60년간 산불발생 잠재성 추이에 대한 연구
- 자연재해가 주택 가격 불균등에 미치는 영향
- 방사시험 및 소방대원 설문을 통한 50 mm 소방호스 사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현장 기반 공간위험요소를 활용한 재해위험도 평가
-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내화구조 성능 분석 및 보강 방안 연구
- 대형방화스크린셔터 엔드락과 가이드레일 이격거리에 따른 셔터면 건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 프리캐스트 바닥판-거더 조립식 연속 합성부를 갖는 거더의 구조성능 평가절차 개발 및 해석적 평가
- 농업용 저수지의 월류방지를 위한 L형 옹벽 구조물의 설계구조 적합성 및 수위별 침투특성 평가
- 국내 지반 함몰 현황 및 관리 체계 분석
- 주성분 분석 기반 회귀모형을 활용한 북한 홍수 및 태풍 피해 추정 연구
- 위성 관측자료 활용 확대에 따른 전지구 파랑자료동화 성능 개선
- 재난관리시설의 지역단위 지진위험도평가
- 기상학적인자를 고려한 강원지역의 돌발가뭄 발생특성 분석
- 인위적 강우 실험을 통한 투수블럭의 유출 특성 분석 및 투수포장 실험법 개발 시 검토사항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