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Region-Specific Heatwave Crisis Alert System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 Data-Driven Approach for Adaptive Risk Manag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수란(Suran Kim) 정태성(Tae Sung Cheo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4호, 9~1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후변화의 심화는 폭염을 단순한 계절성 이상기후가 아닌,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실질적인 위협을 가하는 기후재난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특히 폭염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대응 체계의 한계가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정밀하고 지역 맞춤형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체감온도 기반의 전국 단위 위기경보 체계를 도입하였으나, 지역별 기후 특성과 기온 분포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경보 발령의 실효성과 수용성 측면에서 혼선을 초래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1994년부터 2023년까지 30년간의 전국 65개 종관기상관측소 데이터를 활용하여 일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지역별 폭염 특성을 정량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주의-경계-심각의 3단계 폭염 위기경보 체계를 새롭게 설계하였으며, 단순 최고기온이 아닌 체감온도 및 30년 평균 대비 초과 일수 등의 지표를 통합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기존 일률적 기준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새로 개발된 기준은 2019년과 2022년 폭염 사례에 적용되어 정확성 및 지역별 대응 적합성 측면에서 그 적용 가능성과 정책적 활용성이 입증되었다. 본 경보체계는 향후 폭염의 고빈도·고강도화에 따른 사회적·보건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기후위기 적응전략 마련을 위한 과학적 기반 자료로써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s climate change intensifies, heatwave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climate disasters that pose serious threats to public safety and health. The current national heatwave crisis alert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based solely on perceived temperature, fails to reflect regional climatic variations. To address this issue, the Republic of Korea has developed a new heatwave crisis alert system based on the Wet Bulb Globe Temperature (WBGT); however, its uniform criteria cause confusion in practical applications. This study introduces a region-specific heatwave crisis alert system tailored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meteorological data from 65 nationwide observational stations spanning 30 years, from 1994 to 2023. Analysis of the daily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reveals distinct regional heatwave patterns. Based on these results, a three-tier alert system—Caution, Warning, and Severe—is introduced, incorporating both the WBGT and the number of days exceeding the 30-year average to improve the accuracy. Heat wave events that happened in 2019 and 2022 were used for validation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system in capturing regional differences and enhancing alert reliability. This approach provides a scientific and policy-relevant foundation for public health protec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while supporting efforts to reduce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extreme heat.
목차
1. 서 론
2. 관측자료 수집 및 분석
3. 폭염재난 위기경보 발령기준 개발
4. 폭염재난 위기경보 발령기준 검증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4호 목차
- 지르코늄 합금 스크랩 화재 안전성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역 맞춤형 폭염 위기경보 체계 개발: 대한민국 자료 기반 적응형 위험관리 접근
- 국내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설현장 화재 위험 예측을 위한 ANN 모델 개발
- 해수면상승에 따른 재해취약지역의 공간적 특성 분석
- 온열질환자 발생가능성의 격자 기반 대시메트릭 매핑
- 도심 내 건물 및 지형 조건을 고려한 대기확산 모의 비교: 라그랑지안 입자 확산 모델과 가우시안 플룸 모델
- 우리나라의 최근 60년간 산불발생 잠재성 추이에 대한 연구
- 자연재해가 주택 가격 불균등에 미치는 영향
- 방사시험 및 소방대원 설문을 통한 50 mm 소방호스 사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현장 기반 공간위험요소를 활용한 재해위험도 평가
-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내화구조 성능 분석 및 보강 방안 연구
- 대형방화스크린셔터 엔드락과 가이드레일 이격거리에 따른 셔터면 건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 프리캐스트 바닥판-거더 조립식 연속 합성부를 갖는 거더의 구조성능 평가절차 개발 및 해석적 평가
- 농업용 저수지의 월류방지를 위한 L형 옹벽 구조물의 설계구조 적합성 및 수위별 침투특성 평가
- 국내 지반 함몰 현황 및 관리 체계 분석
- 주성분 분석 기반 회귀모형을 활용한 북한 홍수 및 태풍 피해 추정 연구
- 위성 관측자료 활용 확대에 따른 전지구 파랑자료동화 성능 개선
- 재난관리시설의 지역단위 지진위험도평가
- 기상학적인자를 고려한 강원지역의 돌발가뭄 발생특성 분석
- 인위적 강우 실험을 통한 투수블럭의 유출 특성 분석 및 투수포장 실험법 개발 시 검토사항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