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forming the Ministerial Policy Adviser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이근주 김상숙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4권 제2호, 57~7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변화하는 정책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정책 수립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된 장관정책보좌관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특히 유사한 제도를 오랫동안 운영한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 해외 사례의 제도적 시사점을 통해 향후 장관정책보좌관제도가 정치와 행정을 연결하는 가교이자 직업공무원과의 건설적인 협력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제도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정책적·학문적 논의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Ministerial Policy Advisor (MPA) system in South Korea was established to strengthen ministerial policy capacity and enable more effective responses to evolving policy environments.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operational dynamics of the MPA system and proposes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form.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analogous advisory institutions in th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the study identifies key institutional insights relevant to the Korean context. It contends that MPAs should be redefined as strategic intermediaries between political leadership and the bureaucracy, with a focus on fostering institutionalized collaboration with career civil servant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enhance transparency, accountability, and policy effectiveness through sustained academic and policy eng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제도 현황
Ⅲ. 해외 사례
Ⅳ. 함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경력직공무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장관정책보좌관제도를 중심으로
- 직무급 도입 과정에 대한 다중 사례 연구
- 초저출산에 따른 공공 인사정책 방향의 전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한 인사정책을 중심으로
- 대전환기 공공기관 리더십의 제도적 재설계: ESG 연계를 통한 전문성·책임성 강화 전략
- 정권변동에 따른 공직동기–조직몰입 관계의 구조적 변화: 대통령 탄핵과 적폐청산 시기를 중심으로
- 직무 관련 특성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요구-자원모델과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직무적합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특수경력직공무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장관정책보좌관제도를 중심으로
- 직무급 도입 과정에 대한 다중 사례 연구
- 초저출산에 따른 공공 인사정책 방향의 전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한 인사정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