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stitutional Redesign of Public Institution Leadership in an Era of Great Transformation : Strategies for Enhancing Expertise and Accountability Through ESG Integr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박성민 유정환 양지은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4권 제2호, 39~5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공공기관장 임명 제도의 정치화 문제를 경로의존성과 제도적 관성, 구조적 병목이라는 제도적 요인에서 분석하며, ESG 거버넌스의 확산이 리더십의 연속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한다. Mahoney & Thelen의 점진적 제도변화 이론을 바탕으로, 기존 구조에 새로운 제도와 절차를 추가하는 층위 전략을 통해 임명 과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일 수 있는 개혁 경로를 제시한다. 더불어, 책임리더십 개념과 ESG 기반 다차원 평가체계를 연계하여, 공공성·전문성·윤리성이 조화를 이루는 리더십 제도 설계를 모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적 시각에서 공공기관 리더십 구조의 점진적 개혁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ization challenges inherent in Korea's public institution executive appointment system through the analytical lens of institutional factors encompassing path dependence, institutional inertia, and structural bottlenecks, while exploring how the proliferation of ESG governance frameworks may constitute a pivotal catalyst for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toward enhanced leadership continuity and professional competency. Drawing upon Mahoney and Thelen's theoretical framework of gradual institutional change, this research delineates reform trajectories that augment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 appointment processes through layering strategies that superimpose novel institutional mechanisms and procedural frameworks upon existing structures. Furthermore, by synthesizing the conceptual paradigm of responsible leadership with ESG-based multidimensional evaluation systems, this investigation seeks to architect leadership institutional designs that harmoniously integrate publicness, professionalism, and ethical integrity. Through this comprehensive analysis, the study presents the potential for gradual reform of public institution leadership structures from a new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thereby deriving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governance transform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공공기관 리더십
Ⅲ. 한국사회에서의 공공기관 리더십과 임명제도에 관한 고찰
Ⅳ. 리더십 연속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혁 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경력직공무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장관정책보좌관제도를 중심으로
- 직무급 도입 과정에 대한 다중 사례 연구
- 초저출산에 따른 공공 인사정책 방향의 전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한 인사정책을 중심으로
- 대전환기 공공기관 리더십의 제도적 재설계: ESG 연계를 통한 전문성·책임성 강화 전략
- 정권변동에 따른 공직동기–조직몰입 관계의 구조적 변화: 대통령 탄핵과 적폐청산 시기를 중심으로
- 직무 관련 특성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요구-자원모델과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직무적합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특수경력직공무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장관정책보좌관제도를 중심으로
- 직무급 도입 과정에 대한 다중 사례 연구
- 초저출산에 따른 공공 인사정책 방향의 전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한 인사정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