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Housing Choice Factors of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법학회
- 저자명
- 최영선(Young Sun Choi) 이춘원(Choon Won Lee)
- 간행물 정보
- 『부동산법학』제29집 제2호, 45~7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 및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OECD 국가와 비교하면, 미국은 각각 72년과 16년, 일본은 24년과 12년이 소요되었다. 반면, 우리나라는 18년과 8년으로 매우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준비 기간이 부족한 점이 국가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어떻게 노후를준비하느냐에 따라 노인 세대의 생활 안정성이 좌우될 것이며, 노년층이 스스로 적절한 주거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노년층이 주거 소비자로서 어떤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하는지 분석하는 것이 고령화 시대 주택시장 변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분석결과 첫째 주거 주역 환경 요인에 대한 인식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은 가족의 접근성, 이웃이나 친척들과의 교류, 녹지 공간의 충분성, 지역 환경의 전반, 교통의 편리성 순서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거 서비스 필요 요인에 대한 인식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복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주거 서비스 이용 요인에 대한 인식은 삶의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여가・문화・운동 등의 활동과 관련된 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한 상태에 노년층의 주거선택은 어느 곳을 택할것인가에 대한 연구에서는 노년층이 혼자 살 경우에는 건강이 좋더라도 생활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택을선택하길 원하며, 도시권에 거주하는 경우는 교통의 복잡성, 소음, 인구밀도, 공해 등으로 좀더 주거환경이 좋은 곳을 선택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When comparing the time taken to enter an aged society and a super-aged society with OECD countries, the United States took 72 years and 16 years, and Japan took 24 years and 12 year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Korea is aging very quickly, taking 18 years and 8 years, respectively, and the lack of preparation time for this is emerging as a national problem. The stability of the elderly generation’s life will depend on how they prepare for old age, and measures are needed for the elderly to maintain an appropriat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ir own. Therefore, analyzing what factors the elderly consider important as housing consumers is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in the aging socie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 analysis of how the perception of the main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s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be in the order of family accessibility, interaction with neighbors or relatives, sufficiency of green space, overall local environment, and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Second, the study on how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housing services affects life satisfaction can be said to be complex. Third, a study on how the perception of factors i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affects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services related to activities such as leisure, culture, and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a study on where the elderly would choose to live in a healthy state showed that when the elderly live alone, they would want to choose a house that provides living services even if they are healthy, and when they live in urban areas, they would want to choose a place with a better living environment due to traffic complexity, noise, population density, and pollu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Ⅲ. 연구의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주택임대차분쟁 조정제도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방안
- 집합건물의 구분소유자의 대지 공유자에 대한 방해배제청구 - 대법원 2024. 10. 31. 선고 2024다202317 판결
- 일본 소유자불명토지 문제에 관한 개정 민법 고찰 - 특히, 공유 관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