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明治時代の竹島=独島に対する太政官指令·宣言に関する日本の研究

이용수  3

영문명
Japanese Research on the Dajokan Orders and Proclamations Concerning Takeshima/Dokdo During the Meiji Period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박병섭(Byoung-Sup Park)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38호, 105~151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메이지(明治)시대 당시의 일본 최고 국가기관인 태정관은 1877년(메이지 10년)에 '다케시마(竹嶋) 외 일도', 즉 다케시마(울릉도)와 '외 일도'인 마쓰시마(松嶋, 독도)는 일본과 관계없다고 선언했다. 이 사실을 밝힌 호리 가즈오(堀和生) 논문은 1987년에 발표된 후 약 20년간은 연구자들에 의해 문제없이 받아들여졌다. 그중에는 쓰카모토 다카시(塚本孝)와 시마네현 죽도문제연구회 좌장 시모조 마사오(下條正男)도 포함된다. 그런데 2007년 시모조는 변설(變說)해 '다케시마 외 일도'는 시마네현에서는 오늘날의 울릉도와 독도를 가리켰는데 내무성과 태정관에서는 다케시마도 '외 일도'도 모두 울릉도를 가리켰다고 주장했다. 이 글은 우선 시모조의 논거가 자료의 오독에 기인한다는 것을 밝히고, 그 후 일본 연구자들이 호리 논문의 부정을 시도했던 과정과 결과를 밝힌다. 자료의 오독을 알게 된 시모조는 그 후는 '다케시마 외 일도'에 대한 견해를 자주 바꾸어 정견이 없다. 한편, 위의 시모조 견해를 이어받은 자가 쓰카모토 다카시이며, 그는 태정관이 말하는 '다케시마 외 일도'는 '울릉도와 또 하나의 울릉도'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케우치 사토시(池内敏)는 태정관 지령 관련 자료를 철저히 분석해 호리 견해가 옳다는 것을 논증하고, 동시에 쓰카모토의 견해나 학문적 수법을 엄히 비판했다. 쓰카모토는 '울릉도와 또 하나의 울릉도'라는 주장은 일본어 용법에 반하기 때문에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것만은 인정했으나 그 외에는 침묵했다. 이리하여 태정관 지령·선언을 둘러싼 논쟁은 끝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쓰카모토 등 죽도문제연구회 관계자 6명은 '죽도 자료 공부회'를 만들어 3년간 공부를 계속하고, '공부회 보고서'를 간행해 호리 견해를 부정했다. 그들은 태정관 지령 전 일본 중앙 정부에서는 울릉도를 마쓰시마라고 인식해 지도와 문서를 작성하고 있었으므로 내무성과 태정관이 일본과 관계없다고 말한 '외 일도' 즉 마쓰시마는 독도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서 일본 정부가 1873년에 작성해 비엔나 만국박람회에 출전한 「일본 전도」(일실됨)나, 1876년 10월 이후 지지 부문이 작성했다고 추정하는 「대일본국 전도」 등을 인용했다. 이에 대해 박병섭은 공부회 주장에는 의문점이나 오류가 많음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그 주장을 근본적으로 뒤집는 자료로서 문부성이 울릉도를 다케시마로 그린 지도 '대일본 대학구 전도' 등을 제시했다. 또 공부회는 아무 근거도 없이 『이소타케시마 각서(磯竹島覺書)』는 에도막부(江戸幕府)가 편찬했다고 주장하지만, 박병섭은 이는 1875년에 내무성 지지과가 편찬한 것이며 지지과는 다케시마와 마쓰시마가 일본 영토가 아니라는 인식으로 『이소타케시마 각서』와 「대일본국 전도」를 작성했다고 반론했다. '공부회 보고서'는 '외 일도'가 어느 섬인지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는데, 최근 '다케시마 외 일도'는 '다케시마라고도 마쓰시마라고도 불리는 울릉도'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케우치는 '다케시마 외 일도'는 '다케시마와 이 외 또 하나의 섬'이라고 해석해야 함은 논의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는데, 공부회 회원에게는 그러한 상식적인 판단이 통용되지 않는다. '다케시마 외 일도'가 울릉도와 독도를 가리킴은 메이지 초기 유일한 선례·법령집인 『태정류전(太政類典)』에 기록된 태정관 선언 '일본해내 다케시마 외 일도를 판도 외로 정한다'에서도 명백하다. 이 『태정류전』과 내무성의 지도장 『대일본국 전도』(1883)는 태정관 선언 당시 독도가 일본 영토가 아님을 증명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지도장은 오키섬 먼바다에 일본 섬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인식으로 다케시마·마쓰시마를 시종일관 기재하지 않았다.

영문 초록

Hori Kazuo's view that the Dajokan, Japan's highest national institution, proclaimed in 1877 that “Takeshima and one other island”, namely Takeshima (Ulleungdo) and Matsushima (Dokdo = Liancourt Rocks = Takeshima), had no connection to Japan, was accepted without question by researchers for 20 years after the publication of his paper, including Shimojo Masao and Tsukamoto Takashi. However, in 2007, Shimojo changed his idea. He argued that while in Shimane Prefecture, “Takeshima and one other island” referred to present-day Ulleungdo and Dokdo = Takeshima,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and the Dajokan considered both Takeshima and one other island to refer to Ulleungdo. This study will first show that Shimojo's argument is based on a misreading of the documents, and then shed light on how subsequent research on the Dajokan Directive and Proclamation has been conducted in Japan. After Shimojo realized that he had misread the documents, he changed his view on “Takeshima and one other island” one after another and has no definite opinion. Meanwhile, Tsukamoto Takashi inherited Shimojo's view, and claimed that the Dajokan excluded “Ulleungdo and another Ulleungdo” from Japanese territory. In response, Ikeuchi Satoshi thoroughly analyzed the documents related the Dajokan Directive and proved that Hori's view was correct, while at the same time severely criticizing Tsukamoto's view. In response, Tsukamoto admitted that his theory of “Ulleungdo and another Ulleungdo was unreasonable” because it goes against the usage of the Japanese language, but otherwise remained silent. Thus, the debate over the Dajokan Directive and Proclamation seemed to have ended. However, Tsukamoto and five other members of the Shimane Prefecture Takeshima Issue Research Group established the Takeshima Materials Study Group and continued their study for three years, publishing the Study Group Report in 2022 and denying Hori's view. The book argued that before the Dajokan Directive, the central Japanese government had created maps and documents that showed Ulleungdo as Matsushima, and therefore “one other island”, Matsushima that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the Dajokan had excluded from Japanese territory, was not Dokdo = Takeshima. As evidence, they cited the “Complete Map of Japan”,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 exhibited at the Vienna World Exposition in 1873 but later lost, and the “Complete Map of Great Japan”, which was said to have been presumably created by the geography department after October 1876. At present, Shimane Prefecture may have adopted the view of the Study Group Report, in the educational leaflet “Takeshima” published in 2022, they argued that the Dajokan Directive had nothing to do with Takeshima = Liancourt Rocks, and that there was no directive that said Takeshima = Liancourt Rocks were not part of the Japanese territory. In response to this viewpoint, Park Byoung-sup pointed out that the claims in the Study Group Report were full of doubts and errors, while also presenting a map, “Complete Map of Large School Districts in Great Japan”, in which the Ministry of Education depicted Ulleungdo as Takeshima, as evidence that refutes the claims in the book. Furthermore, the “Study Group Report” claimed without any basis that the “Isotakeshima Memorandum” was compiled by the Edo Shogunate, but this was actually created by the Geography Division in 1875, and Park claimed that based on the recognition in the book, the Geography Division treated Takeshima (Ulleungdo) and Matsushima (Dokdo = Takeshima) as outside of Japanese territory, and did not depict the two islands on the “Complete Map of Great Japan”. Meanwhile,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has remained silent on the Dajokan Directive and Declaration, has indicated its intention to add the Dajokan Directive at exhibi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Territory and Sovereignty.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will likely incorporate

목차

1. はじめに
2. 堀和生の研究と継承
3. 島根県竹島問題研究会の研究
4. 塚本-池内論争
5. 下條正男のさらなる変説
6. 竹島資料勉強会の報告書
7. 太政官指令·宣言後の松島
8. おわりに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병섭(Byoung-Sup Park). (2025).明治時代の竹島=独島に対する太政官指令·宣言に関する日本の研究. 독도연구, (), 105-151

MLA

박병섭(Byoung-Sup Park). "明治時代の竹島=独島に対する太政官指令·宣言に関する日本の研究." 독도연구, (2025): 105-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