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각종 기관의 독도 탐방 프로그램 실시 현황과 과제

이용수  0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Dokdo Exploration Programs Operated by Various Institution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이두현(Du-Hyun Lee)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38호, 59~8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각종 기관에서 운영하는 독도 탐방 프로그램의 실시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독도 탐방 프로그램이 국민의 영토 주권 의식을 강화하고, 독도의 역사적·환경적 가치를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종 기관의 독도 탐방 프로그램은 정부기관, 교육기관, 민간 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이 운영하며, 기관별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탐방 일정은 봄과 가을 사이 집중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제헌절, 광복절, 독도의 날 등 역사적 기념일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졌다. 기존의 플래시몹 중심 홍보의 주요 활동도 숏폼 영상 제작 및 디지털 콘텐츠 공유 방식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독도 탐방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과제로는 탐방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울릉도 연계 현장 탐방 확대, 독도 박람회 운영을 통한 탐방 프로그램 전시 및 공유 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Dokdo exploration programs operated by various institutions in South Korea.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at these programs play a crucial role in strengthening public awareness of territorial sovereignty and promoting the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Dokdo.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government agenci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operate these programs, each implementing differentiated approaches based on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e exploration programs are primarily conducted between spring and autumn, with increased activity around significant historical anniversaries such as Constitution Day, Liberation Day, and Dokdo Day. Additionally, promotional activities, which were traditionally centered on flash mob events, have been shifting towards the production and sharing of short-form videos and digital conten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Dokdo exploration programs, this study suggests key improvement measures, including qualitative advancement of programs, expansion of field exploration linked to Ulleungdo,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xhibition and sharing system through the operation of a Dokdo Expo.

목차

1. 머리말
2. 선행연구 분석
3. 각종 기관의 독도 탐방 프로그램 실시 현황
4. 독도 탐방 프로그램의 현상과 과제
5. 종합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두현(Du-Hyun Lee). (2025).각종 기관의 독도 탐방 프로그램 실시 현황과 과제. 독도연구, (), 59-81

MLA

이두현(Du-Hyun Lee). "각종 기관의 독도 탐방 프로그램 실시 현황과 과제." 독도연구, (2025): 59-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