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부 독도교육 정책 및 독도교육 연구학교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3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Remaining Tasks of the Dokdo Education Policy and the Dokdo Research Education School of Korea Ministry of Educatio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송휘영(Hwi-Young Song)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38호, 33~5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독도정책의 전체적 맥락에서 독도교육 정책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검토하고자 했다. 특히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독도교육 관련 세부시책 중에서 ‘독도교육주간’과 ‘독도교육 연구학교’의 운영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향후의 과제를 검토하였다. 본고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본격적 독도도발이 20년 지난 시점에서, 이제는 우리땅 독도 수호와 독도 영유권 강화를 일본에 대한 대응적이 아닌 주체적 관점에서 추진하는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독도교육의 활성화와 내실화를 위해 독도교육 강화의 가장 핵심적인 것은 독도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의 역량강화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독도교육주간'의 운영은 독도교육을 보다 활성화할 수 있는 좋은 시책이다. 교육현장에서 '독도교육주간' 운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이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가 필요하다. 넷째, '독도교육 연구학교' 운영 사업은 지금까지 국공립 또는 국립대 부설학교 중심으로 선정해온 것을 일반 사립초중고등학교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독도교육 연구학교의 성과는 이를 간략히 정리한 소책자로 만들어 전국의 학교에 배부하여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overview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policy in the context of Korea and examine the future tasks. In particular, among the detailed policies related to Dokdo education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Dokdo Education Week” and “Dokdo Education Research School” policies were analyzed in detail and examined the future tas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 the time of 20 years after Japan's full-scale Dokdo provocation, it is now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promoting the defense of our land Dokdo and the strengthening of Dokdo sovereignty from a proactive perspective rather than a reactive approach to Japan. Second, in order to activate and enhance Dokdo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focus in Dokdo education is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teachers in charge of Dokdo education. Third, the operation of “Dokdo Education Week” is a good policy that can further activate Dokdo education. In order to check how the 'Dokdo Education Week' is specifically operated in the educational field, a monitoring system is necessary. Fourth, it is desirable to expand the 'Dokdo Education Research School' operation project, which has been centered on public or national university schools, to general private middle and high schools. Fifth, the achievements of the Dokdo Education Research School should be summarized in a booklet and distributed to schools nationwide to generalize them.

목차

1. 머리말
2. 교육부 독도교육 정책의 개요
3. 독도교육주간 및 독도교육 연구학교의 운영 현황
4. 교육부 독도교육 시책의 과제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휘영(Hwi-Young Song). (2025).교육부 독도교육 정책 및 독도교육 연구학교의 현황과 과제. 독도연구, (), 33-58

MLA

송휘영(Hwi-Young Song). "교육부 독도교육 정책 및 독도교육 연구학교의 현황과 과제." 독도연구, (2025): 3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