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Whistleblowing of Female Officers in Male-centered Organizations : Focused on the US Coast Guard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형우(Hyung-Woo Lee) 이동영(Dong-Young R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1호, 117~13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부분의 치안이나 안보를 담당하는 정부기관은 남성 중심의 조직이며 이들 기관 내 여성공무원들은 조직 내 소수집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조직 내에서 인사상의 차별 등 부조리를 경험하더라도 이들의 목소리가 일상적인 정치과정을 통하여 조직의 변화로 이어지기는 힘들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들이 중대한 부조리를 경험하였을 때에 이를 자유롭게 보고할 수 있도록 내부고발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미국 해안경비대의 여성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결과를 분석하여 어떤 제도적 요인과 리더십 요인들이 여성들의 내부고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들 요인들 중 남성들보다 여성들의 내부고발행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인사부조리에 대한 무관용정책의 시행과 직속상사의 비편파성이 공무원의 내부고발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의 경우, 상사와의 개인적인 친분관계 및 최고관리자에 대한 신뢰가 내부고발행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남성들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의 비편파성은 남성에게보다 그 효과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Most public security organizations such as US coast guard are typically male-centered organizations in which female officers constitute a minority group. As such, female officers may be troubled in reporting unethical organizational practices even if they themselves are the victims of such immoral practices. It is in this context in which many of today’s organizations have the policy for protecting whistleblower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what institutional and leadership factors affect the whistleblowing of law enforcement officers. Plus, this study is specifically interested in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officers in the extent of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their whistleblowing behavi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execution of zero-tolerance policy and supervisor’s impartiality influenced their whistleblowing the most. Also, the impacts of the intimacy of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trust toward senior leaders were greater for female officers than for the males, while the effect of supervisor impartiality was greater for mal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이버스토킹에 대한 공식처벌인지의 억제효과에서 개인차의 검증
- 자치경찰제 정부안의 중립성 확보 방안 - 조직구조와 임명방식을 중심으로
- CPTED와 범죄 두려움
- 사인의 위법수집증거와그 증거능력에 관한 소고 - 디지털녹취록, 전자우편 등의 판례를 중심으로
- 전자충격기 성능 및 검사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마약밀매범죄 해결방안 연구 - UN SDGs 16항을 중심으로
- 남성중심조직 내 여성의 내부고발행위에 관한 연구 - 미국 해안경비대를 중심으로
- 안전정책 형성의 다중적 흐름 - 초점사건, 정부조직개편과 정치변동
- ‘6·25전쟁’ 중 육군 헌병의 치안활동에 관한 연구 - 일간지에 나타난 활동을 중심으로
- 데이트폭력에 대한 경찰 대응 방안의 법적 근거와 한계에 관한 연구 - 수권근거와 개괄적 수권조항의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보호관찰관의 경고장 발송과 재범과의 관계 - 전자감독 대상자를 중심으로
- 새로운 위험개념과 경찰법의 위기 - 독일 바이에른 경찰직무법(PAG)의개정에 따른 위헌 논란을 중심으로
- 피의자자살의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