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terrent Effect of Formal Punishment in Cyber Stalking and Its Individual Difference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성식(Seong-Sik Lee) 장하영(Ha-Young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1호, 99~11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사이버스토킹을 중심으로 처벌의 억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처벌의 억제효과에 의문을 갖고 그대신 차별접촉, 사회통제, 일반이론에서의 주요 요인들의 영향이 더 중요하다는 주장을 제시해 왔다. 여기서는 그러한 요인들이 처벌과 함께 상호작용효과를 가질 것으로 보고 그러한 개인차 조절변인으로 스토킹 위반자와의 차별접촉, 도덕성, 그리고 낮은 자기통제력을 다루었는데 기존의 논의를 보면 개인차에 대한 상반된 논의가 있어 어느 입장이 지지되는지에 주목했다. 서울시에 재학중인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결과는 사이버스토킹에 대한 처벌인지가 높을수록 사이버스토킹 경험이 적거나 의도가 낮다는 것을 제시했다. 그렇지만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에서와 같이 스토킹위반자와의 차별접촉, 도덕성, 그리고 낮은 자기통제력을 함께 포함하여 다루었을 경우는 처벌인지의 영향력이 매우 낮았고 사이버스토킹 위반자와의 접촉과 도덕성이 매우 높은 영향력을 제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관심으로 사이버스토킹에 대한 처벌인지와 개인차 조절변인들간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결과를 보면 처벌인지와 위반자 접촉과의 상호작용효과가 정(+)적으로 유의미했고, 또한 처벌인지와 도덕성과의 상호작용효과도 정(+)적으로 유의미해 처벌의 억제효과에 개인차가 있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본 결과는 스토킹 위반자와의 접촉이 낮은 사람에게서 더 처벌이 억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제시했고 도덕성이 낮은 사람들에게 처벌이 억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기통제력은 독립적으로도 그리고 처벌인지와의 상호작용효과에서도 그 영향력이 낮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est the deterrent effect of formal punishment in cyber stalking. Previous studies found that several explanatory factors from theories of differential association, social control and general theory are more important in explaining crime rather than legal punishment and emphasize that those factors have interaction effects with punishment. This study examines individual difference in legal punishment and test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egal punishment and differential association with cyber stalkers, morality, and self-control. However, there are contrasting views in individual differences of deterrent effects whether its effect is high in high differential association with cyber stalkers, low morality, and low self-control or low differential association with cyber stalkers, high morality, and high self-control. Analyzing 27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threats of punishment deters cyber stalking and its intention. However, it is shown that its deterrent effect is small when other variables such as differential association with cyber stalkers, morality, and self-control are controlled. It is found that differential association with cyber stalkers and moral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yber stalking.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deterrent effect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erceived punishment and differential association with cyber stalkers is significant positive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erceived punishment and morality is also significant positive. That is, there are deterrent effect in low differential association with cyber stalkers and low morality. However, it is found that self control has no independent and interaction effect with the perceived punish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문제와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이버스토킹에 대한 공식처벌인지의 억제효과에서 개인차의 검증
- 자치경찰제 정부안의 중립성 확보 방안 - 조직구조와 임명방식을 중심으로
- CPTED와 범죄 두려움
- 사인의 위법수집증거와그 증거능력에 관한 소고 - 디지털녹취록, 전자우편 등의 판례를 중심으로
- 전자충격기 성능 및 검사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마약밀매범죄 해결방안 연구 - UN SDGs 16항을 중심으로
- 남성중심조직 내 여성의 내부고발행위에 관한 연구 - 미국 해안경비대를 중심으로
- 안전정책 형성의 다중적 흐름 - 초점사건, 정부조직개편과 정치변동
- ‘6·25전쟁’ 중 육군 헌병의 치안활동에 관한 연구 - 일간지에 나타난 활동을 중심으로
- 데이트폭력에 대한 경찰 대응 방안의 법적 근거와 한계에 관한 연구 - 수권근거와 개괄적 수권조항의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보호관찰관의 경고장 발송과 재범과의 관계 - 전자감독 대상자를 중심으로
- 새로운 위험개념과 경찰법의 위기 - 독일 바이에른 경찰직무법(PAG)의개정에 따른 위헌 논란을 중심으로
- 피의자자살의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