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Analysis of Police Official’s Leadership Styl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신동희(Dong-Hee Shin) 이영균(Young-Gy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1호, 55~7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의 산출적 측면에 초점을 둔 조직성과인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실증적 탐색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했다. 실증적 탐색을 위해, 본 연구는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 경찰서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결과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재직기간과 직급은 근속몰입과 부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에 비추어, 경찰공무원들이 직장에서 보다 오랫동안 재직하고, 또한 직급이 상승할수록 조직에서의 계속 근무하고자 싶은 열망을 보유할 수 있는 정책적 설계가 요구된다.
둘째, 경찰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가 근속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반면에 가치몰입과 관련하여 변혁적 리더십이 경찰공무원의 가치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거래적 리더십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에서 경찰공무원은 상관의 변혁적 리더십보다는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가치몰입을 향상하는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에서 경찰공무원의 경우 상관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가 조직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발적 참여의지에 영향요인이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sought to explore policy implications using empirical research of how police official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impa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which are organizational outcomes that focus on the performance aspects of the organization.
For empirical research,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police officials working at police stations in Seongnam, Hanam and Gwangju city. The analysis result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he length of employment and class of police officia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mitment of stay. In this regard, the more police officials spend more time in the workplace and the higher the job class, the more policy design is required to hold the desire to continue working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ly, both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police officials has a positive impact on commitment of sta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negative impact in relation to value commitment,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In this analysis, police officials were able to confirm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rather tha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relationships, was a variable that increased the value commitment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ird, we found that both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police officials had a positive impact on OCB.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police personnel, bo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the relationship were positiv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behavior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voluntarily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와 가설설정
Ⅲ.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이버스토킹에 대한 공식처벌인지의 억제효과에서 개인차의 검증
- 자치경찰제 정부안의 중립성 확보 방안 - 조직구조와 임명방식을 중심으로
- CPTED와 범죄 두려움
- 사인의 위법수집증거와그 증거능력에 관한 소고 - 디지털녹취록, 전자우편 등의 판례를 중심으로
- 전자충격기 성능 및 검사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마약밀매범죄 해결방안 연구 - UN SDGs 16항을 중심으로
- 남성중심조직 내 여성의 내부고발행위에 관한 연구 - 미국 해안경비대를 중심으로
- 안전정책 형성의 다중적 흐름 - 초점사건, 정부조직개편과 정치변동
- ‘6·25전쟁’ 중 육군 헌병의 치안활동에 관한 연구 - 일간지에 나타난 활동을 중심으로
- 데이트폭력에 대한 경찰 대응 방안의 법적 근거와 한계에 관한 연구 - 수권근거와 개괄적 수권조항의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보호관찰관의 경고장 발송과 재범과의 관계 - 전자감독 대상자를 중심으로
- 새로운 위험개념과 경찰법의 위기 - 독일 바이에른 경찰직무법(PAG)의개정에 따른 위헌 논란을 중심으로
- 피의자자살의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