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PTED and Fear of Crim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류준혁(Jun-Hyuk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1호, 15~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라 볼 수 있다. 첫째, 환경 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 기법이 범죄 두려움에 효과를 가지는가에 대해 선행 연구들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둘째,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 전략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음에도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경험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효과성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 대한 평가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몇몇 연구들에서는 CPTED가 범죄 두려움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그렇지 않은 연구 결과 역시 발견되었다. 나아가 평가에 포함된 연구들이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연구들을 포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연구의 결론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범죄 두려움에 대한 CPTED의 과학적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기에는 시기상조라고 할 수 있다.
서울의 25개 구에서 수집한 2091명의 설문 데이터를 가지고, 다중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CPTED가 범죄 두려움에 어떤 영향을 있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기존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CPTED가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이 나타났다. 4가지 CPTED 요소 중에서 2가지, 즉 접근 통제와 자연적 감시는 범죄 두려움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와 더불어 앞으로의 연구방향 그리고 경찰과 지방 정부를 위한 정책적 측면에서의 제안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re are two purposes to the present study. One purpose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from previously publish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on fear of crime. Second,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of not the effects of CPTED on fear of crime are effective with controlling other variables.
First, this review found mixed results. There are some evidenced that CPTED is effective in reducing fear of crime, but others studies could not find the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 evidence base covered in the review has considerable limitations, because study quality is generally poor with very few studies using robust designs. Therefore, the scientific effects of CPTED on fear of crime are still inconclusive.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are used on survey of 2091 residents of 25 counties in Seoul to assess the effects of CPTED on fear of crim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CPTED on fear of crime are present. Access control and natural surveillance among 4 CPTED factors survive among various variables. Finally, the relevance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subject of forthcoming research and local governmental poli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CPTED 와 범죄 두려움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이버스토킹에 대한 공식처벌인지의 억제효과에서 개인차의 검증
- 자치경찰제 정부안의 중립성 확보 방안 - 조직구조와 임명방식을 중심으로
- CPTED와 범죄 두려움
- 사인의 위법수집증거와그 증거능력에 관한 소고 - 디지털녹취록, 전자우편 등의 판례를 중심으로
- 전자충격기 성능 및 검사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마약밀매범죄 해결방안 연구 - UN SDGs 16항을 중심으로
- 남성중심조직 내 여성의 내부고발행위에 관한 연구 - 미국 해안경비대를 중심으로
- 안전정책 형성의 다중적 흐름 - 초점사건, 정부조직개편과 정치변동
- ‘6·25전쟁’ 중 육군 헌병의 치안활동에 관한 연구 - 일간지에 나타난 활동을 중심으로
- 데이트폭력에 대한 경찰 대응 방안의 법적 근거와 한계에 관한 연구 - 수권근거와 개괄적 수권조항의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보호관찰관의 경고장 발송과 재범과의 관계 - 전자감독 대상자를 중심으로
- 새로운 위험개념과 경찰법의 위기 - 독일 바이에른 경찰직무법(PAG)의개정에 따른 위헌 논란을 중심으로
- 피의자자살의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