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edia Attitude of Autonomous Police with Big Data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민형(Min-H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6권 제1호, 173~1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치경찰제 도입에 있어서 도입단위와 사무배분, 추진방식과 시기 및 단계적 정착 등 순기능적 추진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므로 제도의 취지를 살리기 위한 자치경찰 도입과 정책결정의 이론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언론의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핵심주제어(key word)에 따라 분류된 언론보도 기사이다. 검색키워드는 “자치경찰”이며, 연구목적 상 자치경찰과 관련 키워드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자치경찰에 관한 정책이슈의 변동과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제주특별법에 따른 제주자치경찰단이 출범한 2006년 7월 1일부터 2019년 4월 6일 현재 “자치경찰”을 키워드로 한 전체 언론기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자치경찰”의 언론보도 이슈를 키워드별로 도출하기 위해 빅카인즈(Big Kinds)를 통해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상세검색 기능을 통해 검색 키워드를 “자치경찰”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2017년 7월 19일 이전 언론보도 상 자치경찰의 최대 이슈는 제주도의 자치경찰제 시범 실시와 지방분권이었으며, 2017년 7월 19일 이후 현재까지의 최대 쟁점은 수사권 또는 수사권 조정으로 나타났다. 결국 현재 자치경찰제도 도입의 이슈는 언론보도상의 태도와 같이 수사권 조정과 결부된 단계에 와 있으며, 자치경찰제의 도입은 경찰권의 제도적 분산과 맞물려 수사권조정의 한 과제로 인식되어 진다. 수사권 조정과 자치경찰제를 함께 추진하기 위한 현 정부의 계획이 언론에 투영되었으며, 수사권 조정과 자치경찰제를 어떻게 연계하느냐가 자치경찰제 도입의 최대 정책이슈로 대두되었다.
영문 초록
Since the introductory unit and office work distribution in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forward function promotion measures such as the promotion method and the timing and phase-fixing should be explored, the attitude of the media need to analyze to provid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and policy decision of the autonomous police to utilize the purpose of the system.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media coverage article classified based on core key word. The search keyword is “autonomous police”, an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the change and the suggestion of the policy problem about the autonomic police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relevance of the autonomic police and related key words .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the coverage of the whole media article with the keyword “autonomous police” as of July 1, 2006 to April 6, 2019 when the autonomy police system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olice” was launched. In order to derive news reports of “autonomous police” for each keyword, the analys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Big Kinds, and the search keyword “autonomous police” was made using the detailed search fun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biggest problem of the autonomous police on the press before July 19, 2017 is the examin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n Jeju Island, and from July 19, 2017, the present, the biggest issue up to now was the adjustment of the right of investigation and the right of investigation. After all, the problem of the introduction of the current autonomous police system is in the stage of being linked with the adjustment of the investigation right like the media's reporting attitud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interrogated with the institutional dispersion of the police right and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right adjustment. The current government's plan for promoting coordination of investigation authority and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ogether is projected to the mass media, and how to coordinate the coordination of investigation authority and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the biggest policy issue of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전한 지역사회 만들기와 도시힐링 : 대학가의 CPTED 프로그램 설계
- IPA를 활용한 경찰교육훈련 개선방안 : 경찰수사연수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경찰 범죄예방진단팀(CPO)의 CPTED 관련 직무분석
- 연안사고 예방을 위한 연안해역 안전관리 강화방안
- 경찰공무원의 팔로워십에 관한 연구 : 실태 및 성과를 중심으로
- 협력치안 활성화 방안에 관한시민 인식 연구
- 지문정보 이용 스마트폰 포렌식과 통제방안
- 일본의 형사 미성년자제도에관한 연구
- 경찰 하위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112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지역경찰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자치경찰 관련 언론보도의 태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