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Improvement of Coastal Safety Management System to Prevent Coastal Water Accident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두석(Du-Se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6권 제1호, 19~4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연안사고를 기준으로 해양경찰청의 연안 안전관리 업무와 관련하여 국내 연안해역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안전관리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안전한 연안해역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안해역은 국민소득이 향상되면서 건강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웰빙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관광객 및 레저활동자가 많이 찾는 곳이다. 지난 2014년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이 제정, 시행되면서 연안사고 예방을 위한 법적인 근거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 법에서의 연안사고는 연안해역이나 무인도에서 발생한 비선박사고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인이 생각하는 연안사고 개념 보다는 그 범위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또한, 수중형체험활동은 수중레저법과 수상형체험활동은 수상레저법과 일반형체험활동은 해수욕장법 등과 중첩되어 이 법의 입법취지가 퇴색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안사고 통계자료를 분석하였다. 연안사고예방법 시행 이후 사고발생 건수는 큰 변화를 보인 반면, 사망자 수는 이렇다 할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현행 연안해역 안전관리 제도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간 제기되었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법제도적 관점과 실무적 관점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 법체계 전체의 관점에서 해양사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보완 점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safety management plan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waters of Republic of Korea to provide a safe coastal environment in relation of Korea Coast Guard coastal safety management duties and「Coastal Accident Prevention Law」as defined.
Coastal waters are a popular destination for tourists and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the well-being culture that emphasizes health and quality of life as the national income increases. The「Coastal Accident Prevention Law」was enacted and enforced in 2014, providing legal basis for coastal accident prevention. However, this Act have been limited to non-vessel accidents occurred in coastal waters and uninhabited islands, limiting the scope of the general public’s definition of coastal water accidents. In addition, Aquatic leisure activities are reiterated with Aqua leisure standard law as well as normal aqua leisure activities are reiterated with bathing beach law, by the presence of this Act has placed coastal accident prevention law at an unstable position.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data of coastal water accidents have been analyzed. After the coastal accident prevention law was enacted, the accident ratio provided a huge difference while the number of death showed no specific difference.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current coastal accident prevention system were reviewed, and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that have been raised are divided into legal institutional and practical aspects. In addition, the viewpoint of efficient maritime accident management system was reviewed under Republic of Korea legal system and the need of impro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안사고의 개념과 현황
Ⅲ. 연안해역 안전관리 제도
Ⅳ. 연안해역 안전관리 강화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전한 지역사회 만들기와 도시힐링 : 대학가의 CPTED 프로그램 설계
- IPA를 활용한 경찰교육훈련 개선방안 : 경찰수사연수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경찰 범죄예방진단팀(CPO)의 CPTED 관련 직무분석
- 연안사고 예방을 위한 연안해역 안전관리 강화방안
- 경찰공무원의 팔로워십에 관한 연구 : 실태 및 성과를 중심으로
- 협력치안 활성화 방안에 관한시민 인식 연구
- 지문정보 이용 스마트폰 포렌식과 통제방안
- 일본의 형사 미성년자제도에관한 연구
- 경찰 하위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112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지역경찰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자치경찰 관련 언론보도의 태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