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ollowership in Korean Police Officers : Focused on Actual Condition & Its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상호(Sang-H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6권 제1호, 47~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팔로워십 실태와 이것이 제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팔로워십의 개념과 영향들을 식별한 후 경찰공무원 270명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경찰공무원 팔로워십은 경찰공무원이 조직목표 달성을 위해 리더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역량으로 정의할 수 있었고 ‘주도적 책임수행’, ‘상생’, ‘진정성’, ‘직무열의’, ‘조직제도 순응’, ‘업무 능력’, ‘성실성’ 등의 7요인 역량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경찰공무원들은 전반적으로 보통(3.000)보다 높은 팔로워십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배경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조금씩 차별적인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계급과 연령, 근무경험, 학력이 높은 경찰공무원의, 그리고 청·서 단위 근무자들과 경무, 수사·형사부서 근무자들의 팔로워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찰공무원 팔로워십 역량들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경찰공무원은 ‘상생’, ‘직무열의’, ‘성실성’에 대한 인식이 커질수록 보다 높은 직무만족 수준을, 그리고 ‘주도적 책임수행’, ‘상생’, ‘직무열의’에 대한 인식이 커질수록 보다 높은 조직몰입 수준을 표출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팔로워십 제고에 필요한 처방과 후속 연구방향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state of followership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police officers and their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fter reviewing the concepts and influences of followers through previous studies, 270 questionnaires of Korean police officer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is study.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e officers’ followership could be defined as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police officers to interact with the leader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nd was categorized into 7 factors. Next, the police officers generally showed higher levels of followership than the average(3.000) and they we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followership of police officers with high class, more age, more working experience and high educational level was relatively high. And, the followership of police officers who work in street-level agency and patrol department was relatively low.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ice officers follow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lice officers. Specifically, the police officers expressed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as the perception of ‘win-win partnership’, ‘enthusiasm’, and ‘sincerity’ increased. And the police officers expressed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perception of ‘independent performance’, ‘win-win partnership’, and ‘enthusiasm’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organizational strategies that can improve and subsequent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ollowership of police officers have been examin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실증분석
Ⅳ. 결 론: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전한 지역사회 만들기와 도시힐링 : 대학가의 CPTED 프로그램 설계
- IPA를 활용한 경찰교육훈련 개선방안 : 경찰수사연수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경찰 범죄예방진단팀(CPO)의 CPTED 관련 직무분석
- 연안사고 예방을 위한 연안해역 안전관리 강화방안
- 경찰공무원의 팔로워십에 관한 연구 : 실태 및 성과를 중심으로
- 협력치안 활성화 방안에 관한시민 인식 연구
- 지문정보 이용 스마트폰 포렌식과 통제방안
- 일본의 형사 미성년자제도에관한 연구
- 경찰 하위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112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지역경찰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자치경찰 관련 언론보도의 태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