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stablishment of Community Safety Map Using Citizen Participation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조민상(Min-Sang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4호, 189~20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앙정부를 포함하여 관 주도적인 활동과 정보의 제공은 현존하는 위험 및 안전에 대한 현장 정보를 전달하는데 한계를 보인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안전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안전지도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변화의 방법으로는 시민의 참여를 활용하여 소통과 협력을 기반으로 한 안전지도를 개선하는 것이다.
안전지도에 관한 자료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안전지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관련기관에서 필요한 정보를 종합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시민이 참여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한계가 나타났다. 안전지도에 관한 시민 인식을 분석한 결과로는 첫째, 안전지도에 대한 관심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의 안전 공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전지도와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으로는 정보제공을 포함하여 시민의 요구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안전지도와 관련하여 시민의 참여를 활용하기 위해 개선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 지식 및 기술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정보 제공 대상과 범위 및 참여의 기준이 설정되어야 한다. 셋째, 정보제공의 통일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시민참여를 위한 적극적 안내와 홍보가 필요하다. 끝으로 안전지도 이용의 취약 계층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blic-led activities and information provision,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 limit the delivery of on-site information on existing risks and safety.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way to build a community safety map to improve safety in the community. The way to change is to improve the safety map based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y utilizing citizen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ata on the safety map, the necessary information was gathered and operated by the 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provide safety map. However, there was a difficult limit for citizen participation.
Citizens' perception of safety maps is as follows. First, interest in the operation of safety maps was low. Second, it seems tha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nd concern about safety space in the community. Third, the need for the safety map has varied in the needs of citizens, including information provision.
The following items should be improved to utilize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safety map. First, expertise and technical skills are needed. Second, the scope and criteria of information provision should be improved. Third, the uniformity of information provision should be improved. Fourth, active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re necessary for citizen participa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ulnerable groups in using safety ma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안전지도 운영 사례
Ⅳ. 안전지도에 관한 시민 인식
V.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테러방지법 제정에 따른 테러위기관리체계 개선 방안 : 경찰의 대테러 역할 강화를 중심으로
- 사이버테러의 거버넌스 구축에관한 연구
- 민간경비원의 직무착근도가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공인탐정제입법화에 관한 연구
- 1인 가구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 : 가구유형별 범죄두려움 수준과 영향요인 비교를 중심으로
- 시민참여를 활용한지역사회 안전지도 구축방안
- 아동·청소년 그루밍 성범죄에 대한 이해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전문화의 정착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학생들의 안전교육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음주 및 흡연과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 Sampson과 Laub의 누적적지속 이론 검증
- 드론을 활용한 경찰의범죄예방 효과 연구
- 다문화가족 청소년의사회적 차별경험이 학교 폭력범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심층면접연구를 통한 양적연구의 보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