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Measures of Safety Culture : Focusing on Safety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장석헌(Seok-Heon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4호, 143~16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안전교육을 통하여 안전문화를 창출하고 실천하며 확산하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교육의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정착화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안전문화 창출프로그램은 안전관련 교재를 개발 및 개설운영하여 창의적 안전문화를 창출하고 일본 등 해외안전기관 탐방을 통하여 안전관련 제도와 시스템을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얻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안전문화 실천프로그램은 안전체험시설 안전체험, 안전테마캠프, 범죄피해자 힐링캠프, 안전워크솝, 안전모니터활동을 통하여 안전문화의 체험과 실천교육을 강화하여 안전을 체득하였다. 셋째, 안전문화 확산프로그램은 안전동아리, 안전전시회, 안전캠페인, 안전관련 프리젠테이션 등을 통하여 안전문화의 보급과 전파에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문화의 창출프로그램, 실천프로그램, 확산프로그램을 통하여 안전문화를 정착화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방안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할 것이다.
첫째, 안전교육기관 및 시설을 확보해야 한다. 2019년 1월에 행정안전부에서 지정한 안전교육기관을 보면 지역별, 분야별 형평성을 추구해야 하고 특히 민간단체중심으로 안전교육기관이 지정되어 있어서 대학을 안전교육기관으로 지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안전교육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대학이나 대학원과정에 안전관련 분야를 개설하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통하여 유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안전교육 프로그램과 교육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타인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심폐소생술 교육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호신술교육을 강화해야 하고 교육방법도 강의식교육보다는 체험식 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특히 4차 산업과 관련된 가상현실기법의 교육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피해자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상담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피해자가 경험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외상후 성장(PTG)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상담을 활성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afety-related programs and to suggest establishment schemes in order to create, practice and spread safety culture through safety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First, the safety culture creation program developed safety-related textbooks and created safety culture, and visited the overseas safety organizations such as Japan to grasp safety-related institutions and systems. Second, the safety culture practice program strengthened the experience of safety culture through safety experience, safety theme camp, crime victim healing camp, safety workshop and safety monitor activity. Third, the safety culture dissemination program contributed to the dissemination and propagation of safety culture through safety clubs, safety exhibitions, safety campaigns, and safety-related presentations.
In order to establish the safety culture through these programs, several measures must be sought.
First, the safety education institutions and facilities should establish equity in each region and sector, and include universities. Second, in order to train safety manpowe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stablish a safety-related discipline in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Thir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hat protects the life and safety of others is important, bu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elf-defense education which keeps its own safety, and the education method should strengthen the experiential education rather than the lecture education.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ducation through virtual reality technique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nally, counseling should be activated so tha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xperienced by the victim can develop into post- traumatic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안전문화의 이론적 배경
Ⅲ. 대학생들의 안전교육 운영사례
Ⅳ. 안전문화의 정착화방안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테러방지법 제정에 따른 테러위기관리체계 개선 방안 : 경찰의 대테러 역할 강화를 중심으로
- 사이버테러의 거버넌스 구축에관한 연구
- 민간경비원의 직무착근도가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공인탐정제입법화에 관한 연구
- 1인 가구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 : 가구유형별 범죄두려움 수준과 영향요인 비교를 중심으로
- 시민참여를 활용한지역사회 안전지도 구축방안
- 아동·청소년 그루밍 성범죄에 대한 이해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전문화의 정착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학생들의 안전교육을 중심으로
- 청소년 음주 및 흡연과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 Sampson과 Laub의 누적적지속 이론 검증
- 드론을 활용한 경찰의범죄예방 효과 연구
- 다문화가족 청소년의사회적 차별경험이 학교 폭력범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심층면접연구를 통한 양적연구의 보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