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Private Investigation Research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용현(Yong-Hy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1호, 79~1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7년, 2011년, 2015년 등 4년 주기 3회 동안 발생한 지역별 집회시위 현황을 연구대상으로 집회시위 성장추세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집회시위 잠재성장모형은 카이제곱의 p-value가 .901, NFI는 .997, CFI는 1.000, RMSEA가 .000이므로 적합도 판정 결과는 ‘유의한 모형’으로 나타났으며, ICEPT이 1485.396이고, SLOPE는 21148.438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관련 집회시위 잠재성장모형은 카이제곱의 p-value가 .001, NFI는 .761, CFI는 .785, RMSEA가 .633이므로 적합도 판정 결과는 ‘유의하지 않은 모형’으로 나타났으며, ICEPT이 116.548이고, SLOPE는 138.212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문화관련 집회시위 잠재성장모형은 카이제곱의 p-value가 .024, NFI는 .902, CFI는 .925, RMSEA가 .426이므로 적합도 판정 결과는 ‘유의하지 않은 모형’으로 나타났으며, ICEPT이 622.552이고, SLOPE는 217.993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정관련 집회시위 잠재성장모형은 카이제곱의 p-value가 .000, NFI는 .304, CFI는 .319, RMSEA가 1.191이므로 적합도 판정 결과는 ‘유의하지 않은 모형’으로 나타났으며, ICEPT이 12.262이고, SLOPE는 9.075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제관련 집회시위 잠재성장모형은 카이제곱의 p-value가 .384, NFI는 .953, CFI는 1.000, RMSEA가 .000이므로 적합도 판정 결과는 ‘유의한 모형’으로 나타났으며, ICEPT이 531.033이고, SLOPE는 441.300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에서 중진국, 선진국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경제관련 집회시위가 필연적으로 증가하고, 민주화 정착 및 소득수준 증대로 인하여 학원관련 집회시위, 사회·문화관련 집회시위, 노정관련 집회시위 등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iagnose the private investigation researches in Korea and to examine the shortcomings of the preceding studies. Through such examination,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preceding private investigations for in-depth private investigation research.
Private investigation refers to a private person’s activity of offering security service such as investigation by getting pays. As the judicial authorities offer limited security services, increased number of citizens demand better security services. However, although there have been continuous attempts to legalize the private investigation since 1998, private investigation has not been legalized yet.
Academic fields have started to research on private investigation since 2000s to legislate acts related to private investigation and to develop new security service. The researches, however, are still in the early stage. The researches on private investigation focused on introduction of private investigation, necessity, overseas examples, and acts related to private investigation. However, the researches have been very limited in the aspects of diversity and empirical study.
For development of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and for profits of private investigator, this study suggests diversity of private investigation and strengthening of empirical study as the corresponding measur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민간조사 연구 현황
Ⅳ. 민간조사 연구의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TUDY ON MANUAL IMPROVEMENT FOR COOPERATIVE INVESTIGATION OF INTERNATIONAL CRIMINAL OFFENSE
- 경제적 변화와 경찰력 변화가 5대 범죄에 미치는 효과분석:벡터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시민 인식태도 연구
- 범죄예방을 위한112신고 자료의 활용방안 연구
- 특별사법경찰의 범죄수사 실태에 대한 실증적 고찰
- 자살테러 의사결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차량돌진테러 분석연구:유럽 및 서구사회에서 발생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민간조사 연구의 분석
- 사이버범죄의 세 유형별 원인과 대책요인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 난폭운전에 관한 연구
- 경호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여성폭력 통합상담소 종사자의 대리외상 후 성장과 영향요인
- 사방댐의 토석류 포착 효과에 관한 정량적 분석
-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among Older Men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