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rocess for Improving the Play-Centered Childcare Curriculum in Novice Teacher-Led Infant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정윤희(Yun-Hee Jung) 이성희(Sung-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30 No.2, 249~2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novice infant teachers collaborating with the researcher to implement and improve the play-centered childcare curriculum. Methods: A qualitative action research approach was employed, with data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s, novic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collaborative discussions with the researcher. The cyclical process involved recognizing challenges, applying improvement strategies, and reflecting on outcomes to enha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Results: Through this cyclical process, the novice teachers were able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ycentered childcare curriculum by supporting infant-led play,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infants and reflective thinking.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how novice teachers can address challenges in implementing the play-centered childcare curriculum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It enhances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support needed for their growth into professional educators and offers specific, applicable improvement strategies and examples for infant classrooms. Additionally, it suggests that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is an effective method for teacher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기요양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 어려움과 실천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2호 목차
- 현직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교육에 대한 경험과 영유아교육 통합기관 원장 자격 연수에 대한 요구
- 학교 밖 청소년 부모의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 사회적 지지에 따른 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의 전자매체 이용 놀이시간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온정적 양육행동에 의한 주의력 문제의 조절된 매개효과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요인 유형화와 예측변인 연구
- 영아반 초임교사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행 개선 과정
-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성장마인드셋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기요양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 어려움과 실천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2호 목차
- 현직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교육에 대한 경험과 영유아교육 통합기관 원장 자격 연수에 대한 요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