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hildren’s Screen-Based Playtime on School Readines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Warmth and Attention Problem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재희(Jaehee Kim) 이은경(Eun G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30 No.2, 229~2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screen-based playtime and school readiness is mediated by attention problems and whether this mediating process is moderated by parental warmth thus testing a moderated mediation model. Methods: Using data from the 2014 Korean Children’s Panel (N = 1,159), children’s screen-based playtime, parental warmth, attention problems, and school readiness were measured through standardized caregiver and teacher report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tes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8. Results: A significant conditional direct effect was found. When parental warmth was high, greater screen-based playtime was modestly associated with higher school readiness. In contrast, under conditions of low parental warmth, increased screen-based playtime was associated with lower school readiness. Additionally, a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 via attention problems was observed, but only among children with low warmth parenting. This finding suggests that attention problems mediate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screen-based playtime and school readiness only in the context of low parental warmth. Conclusions: Parental warmth serves as a protective factor, buffering the potential negative impact of screen-based playtime on children’s attention regulation and school readines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upportive parenting in shap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in increasingly digital environmen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기요양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 어려움과 실천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2호 목차
- 현직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교육에 대한 경험과 영유아교육 통합기관 원장 자격 연수에 대한 요구
- 학교 밖 청소년 부모의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 사회적 지지에 따른 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의 전자매체 이용 놀이시간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온정적 양육행동에 의한 주의력 문제의 조절된 매개효과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요인 유형화와 예측변인 연구
- 영아반 초임교사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행 개선 과정
-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성장마인드셋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기요양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 어려움과 실천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2호 목차
- 현직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교육에 대한 경험과 영유아교육 통합기관 원장 자격 연수에 대한 요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