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zation of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NbCoSn Amorphous Alloy using APT and TEM
- 발행기관
- 한국세라믹학회
- 저자명
- 정찬원(Chanwon Jung)
- 간행물 정보
- 『세라미스트』제28권 제2호, 271~28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Nanostructured materials are conventionally synthesized by mechanically alloying bulk ingots via ball milling, followed by consolidation through powder sintering. However, the conventional approach is limited in its ability to precisely control the microstructure. On the other hand, nanocrystallization from an amorphous precursor offers a more versatile and controllable route for engineering nanostructures. This approach enables precise modulation of crystallization kinetics and microstructural evolution through careful adjustment of annealing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and time. Advanced characterization techniques, such as atom probe tomography (AP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facilitate the elucidation of fundamental crystallization behavior in amorphous alloys. In the present study, we employed a correlative analytical methodology combining APT and TEM to investigate the nanoscale structural evolution of amorphous NbCoSn alloys during thermal annealing. APT provided three-dimensional, atomic-scale mapping of compositional distributions and elemental segregation, while TEM offered complementary insights into crystallographic structure, grain morphology, and segregation behavior. This integrated approach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the rational design of high-performance materials via controlled nanocrystallization of amorphous precursor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실험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사 탐침 현미경 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박막 및 에너지 소재의 나노스케일 분석
- 구조생물학을 위한 Cryo-EM Grid 준비 전략: 재료부터 시료 준비까지
- 전계효과 2차원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측정 기법과 주요 파라미터 도출
- 전계 이온 현미경을 다시 위대하게
- 멀티스케일 고도분석 기반 리튬이온전지 양극재 합성반응 분석 및 설계 최신 연구 동향
-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다성분계 유리의 구조해석
- 고에너지분해능 주사투과전자현미경-최외각전자 에너지손실 분광법(STEM-VEELS)을 이용한 국소 밴드갭 측정
- 엑스선 현미경 분야에서의 최근 기술 혁신 및 발전 동향
- APT와 TEM을 활용한 NbCoSn 비정질 합금의 결정화 거동 분석
- 주사전자현미경(SEM)과 전자후방산란회절(EBSD)의 구조, 원리, 그리고 미세조직 분석 활용
- 원자 탐침 현미경의 기술 발전과 전망
- Hard X-ray absorption spectroscopy를 이용한 에너지 소재 분석 기술
- 고온 초전도체 응용을 위한 높은 열전도율 및 낮은 전기전도성 박막 재료 연구
- 전해질 게이트 바이오센서의 감도 향상을 위한 IGZO 전도도 제어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