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PJBL 연구의 구조적 분석 및 지역문화 기반 실천형 교수법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Structural Analysis of Korean PJBL Research and Exploration of Regional-Culture-Based Practice-Oriented Instructional Methods
- 발행기관
- 문화융복합학회
- 저자명
- 차이레이(Lei Cai) 한의진(Euijin Han)
- 간행물 정보
- 『문화융복합』제6권 제1호, 129~14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academic and practical potential of PJBL models centered on regional culture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81 PJBL-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between 1995 and April 2025. Using multi-layered analyses—including classification by year, research type, subject, topic, keyword frequency, semantic network, and CONCOR cluster analysis—this study identifies key trends, thematic structures, and structural gaps in the existing literature. Findings confirm that PJBL research in Korea has notably expanded over the past decade, focusing mainly on enhancing learner competencies such as creativity, problem-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ollaboration. However, topics like regional community engagement, regional culture content development, and practice-oriented project design remain marginal and are addressed only in limited case studies. Compared with earlier research, which emphasized classroom-level instructional desig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advances the field by underscoring the need for theoretical frameworks and design models that integrate regional and practical dimen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offers three key implications: first, clearer conceptual distinctions between PJBL and related models (e.g., problem-based learning) and robust theoretical foundations for regional-culture-based instructional design; second, the development of PJBL models in local universities that enable students to explore regional identities, resources, and social issues creatively, translating them into meaningful outputs; and third,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and collaborative frameworks between universities and regional organizations to sustain and expand PJBL practic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과 분석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슬로시티와 공유복지 필요성에 관한 탐색: 슬로시티 담양군을 중심으로
- 지역문화창달을 위한 지역문화진흥조례의 법적검토
- 복정백차의 제다기술 기반 문화산업 활용 연구
- 프로레슬링의 영웅서사와 감정정치: 제노포비아적 대립 구조와 국가정체성 수행의 비교문화적 분석
- 진도아리랑을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문화 교육 연구
- 성인학습자의 말하기 불안 완화 교수전략 연구
-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2022 개정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간호학과 성인학습자의 문화역량 교육 가능성 탐색
- 학교 공간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복합화 전략 연구: 국내외 실증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오페라와 연극에서의 발성과 감정표현의 비교를 통한 무대예술의 장르적 특징 연구 - 셰익스피어의 <한여름밤의 꿈>을 중심으로
- 한국 PJBL 연구의 구조적 분석 및 지역문화 기반 실천형 교수법 탐색
-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STEAM Education in Art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A Case Study of Undergraduate Education at Zhengzhou University, Henan Provinc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